특히 저소득층 10가구 중 3가구는 재무여력이 적자로, 다중채무자 등 잠재적 위험가구 수가 171만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코리아크레디트뷰로(KCB) 연구소가 24일 펴낸‘개인신용시장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9년 6월 29.9%였던 가계 재무여력비율이 지난 6월 기준 9.7%로 줄었다.
재무여력비율은 가구 연소득에서 연간 신용판매 이용금액과 원리금 상환액을 제외하고 다시 가구 연소득으로 나눈 것. 가계의 지출이나 원리금 상환이 늘수록 재무여력이 나빠지게 된다.
재무여력 약화는 소득 수준이 제자리인 상황에서 가계부채 증가로 원리금 상환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소득보다 신용판매 이용금액과 원리금 상환액의 합이 더 많은 적자가구 수는 2009년 6월 107만5000가구에서 지난 6월 198만3000가구로 84.5% 늘었다.
전체 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2%에서 24.9%로 확대됐다. 가계의 평균 대출잔액은 8132만7000원에서 9160만6000원으로 늘어나 소득대비 부채비율(LTI)은 166.8%에서 182.4%로 증가했다.
소득별로는 소득 하위 20% 이하인 1분위와 소득 하위 20~40%인 2분위 가구의 재무여력이 급속히 악화돼 재무여력이 마이너스인 가구 비중도 각각 31.3%와 34.6%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30~40대의 재무여력이 나빴다. 30대 재무여력 비율은 6.1%, 적자가구 비중은 29.0%였고, 40대는 6.5%와 26.0%였다. 다중채무자는 은행과 비은행에 각각 부채가 있는 적자 가구 비중이 37.4%, 제2금융권에만 부채가 있는 적자가구 비중은 38.8%였다.
소득 1~2분위 중 40대 이상이거나 일반자영업자 또는 다중채무자인 잠재적 위험가구는 171만가구에 달했고, 세 가지 기준에 모두 속하는‘고위험 가구’는 6만6000가구로 추산됐다.
KCB 연구소는 "내년에도 세계경기의 저성장 기조로 국내 경제가 크게 개선되기 어렵고 가계수지 회복세도 제한적 수준에 그치겠다"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