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경기·인천 등 지방으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지사를 개설하는 등 지역 개발사업 수주를 위한 생존전략을 꾀하고 있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본사 이전이나 지사를 개설하는 것은 해당 지역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 공사 물량 확보하기 위해서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방의 경우 지자체가 발주하는 대형사업이 많고 개발 가능성이 높다"면서 "특히 지방에서 발주하는 토목 등 공공사업의 경우 컨소시엄 구성시 반드시 지역업체를 참여토록 하고 있다는 점도 건설사들의 본사 이전이나 지사 개설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송도·청라·영종지구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함께 오는 2014년 아시안게임을 실시하는 인천으로의 이전이 가장 활발하다.
포스코건설은 인천으로 사옥을 이전한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7월 본사 기능을 해온 서울 역삼동 사무소를 인천 송도 국제업무단지로 옮길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사옥 2개동과 직원아파트를 짓는 등 대대적인 이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와 지방으로 주소지를 변경하는 건설사도 증가하고 있다. 서울에서의 경쟁을 피하고 지방의 발주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신동아건설은 지난해 말 경기도 성남시로 돼 있던 본사 주소지를 인천 남동구로 옮겼다. 월드건설은 지난해 11월 본사를 서울 역삼동에서 경기도 화성시로 옮겼다.
지난 2007년 웅진그룹이 인수한 극동건설은 2009년 11월 본사 주소지를 울산에서 그룹내 주요 공장이 위치한 충남 공주로 이전했다. 세종시 관련 공사를 비롯해 충남 일대 공공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서다.
현대건설은 경기지사를 수원에 신설하며 지사를 기존 5개에서 6개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현대는 인천 및 충청, 호남, 영남, 대구·경북, 경기 등 광역단위 영업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기존 인천이 떠 맡았던 수도권지역 영업 부담을 경기지사 신설로 덜게 됐다.
대우건설도 올초 대전에 소재한 충청지사에 상무보 1명을 추가로 투입하며 조달청과 철도시설공단, 수자원공사 등 주요 발주기관들에 대한 영업력을 강화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본사 이전이나 지사개설은 지역 공사 수주 등으로 신규 사업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특히 영업망이 부족한 중견 건설사들의 경우 4대강 사업지 등 대규모 개발이 예정된 지역으로 본사 주소지를 옮기는 일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