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경기 둔화에 따른 결정
선제적 결정에 주요국 통화정책 ‘선행지표’로 간준
미국 고용지표 부진에 연준 인하 기대도 ↑
캐나다가 주요 7개국(G7) 중에서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인하해 ‘피벗(통화정책 전환)’ 물꼬를 트면서 미국을 비롯한 다른 선진국의 금리 인하 시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캐나다 중앙은행인 캐나다은행(BOC)은 이날 기준금리를 종전 5.0%에서 4.75%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4년 3개월 만에 첫 금리 인하다.
캐나다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하자 2022년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했다. 같은 해 5월 주요국 중앙은행으로서 처음으로 기존의 금리 인상 폭의 두 배인 0.5%p 인상을 단행했으며 지난해 7월까지 6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해왔다.
캐나다가 이날 피벗에 나선 배경에는 인플레이션 둔화가 있다.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2022년 6월 8.1%(전년 동기 대비)까지 올랐으나, 4월 2.7%로 둔화했다. 이는 캐나다은행의 물가상승률 목표치 2%보다는 여전히 높지만, 2021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티프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는 “(경기 연착륙을 위한) 활주로가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말했다.
경기둔화세도 피벗을 뒷받침했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연율 1.7%로, 캐나다은행의 전망치(2.8%)를 크게 밑돌았다. 실업률도 4월 6.1%로 2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기나긴 긴축 기조가 경기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이에 캐나다은행은 7월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열어뒀다. 티프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 후 성명에서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인플레이션이 2% 목표까지 지속해서 움직이고 있다는 확신이 계속 커진다면 정책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면서 “다만 우리는 매 회의 때마다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캐나다가 주요국 중앙은행보다 선제적 통화정책을 펴왔다는 점에서 캐나다은행의 결정은 주요국 통화정책에 대한 일종의 선행지표로 여겨졌다. 이에 시장의 눈은 자연스럽게 이웃 나라 미국에 쏠리게 됐다. 이미 멕시코와 스위스, 스웨덴이 기준금리를 내린 상태인 데다가 미국 민간 고용지표가 부진했다는 점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도 금리 인하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미국 고용정보업체 오토매틱데이터프로세싱(ADP)이 이날 발표한 5월 미국 민간기업 고용은 전월 대비 15만2000명 증가로, 시장 전망인 17만5000명을 밑돌았다. 증가 폭은 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여전히 미국 내에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어 연준이 올해 단 한 차례만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렇게 된다면 캐나다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줄어들게 된다. 미국과의 금리 차가 커지게 되면 캐나다달러 약세와 그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을 부추겨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우려할 단계는 아니라는 게 캐나다은행의 입장이다. 맥클렘 총재는 “미국과의 금리 차에서 비롯된 한계는 있다”며 “그렇다고 지금 그 한계에 근접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