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2시에도 "인뱅 가입이 더 좋나요?"…금융 정보 목마른 청년들 [2030 금융역량 UP ㊥]

입력 2024-03-07 05:00 수정 2024-03-07 07: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24-03-06 18:00)에 Channel5를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운영한 '청년도약계좌 정보공유 채팅방' 흥행
새벽까지 투자법 고민 등 다양한 논의ㆍ정책 정보공유 이뤄져
청년층 금융교육 수요 증가 방증…사실상 '금융교육의 장' 역할
거주지ㆍ상황 다양한 청년에게 정확한 정보ㆍ맞춤형 교육 필요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하면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홈페이지가 나온다. 이날 기준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이 총 4곳 열려 있다. 채팅방에는 약 6000명의 청년들이 참여해 청년도약계좌와 다른 청년 금융상품의 정보 등을 공유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화면 캡쳐.)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하면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홈페이지가 나온다. 이날 기준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이 총 4곳 열려 있다. 채팅방에는 약 6000명의 청년들이 참여해 청년도약계좌와 다른 청년 금융상품의 정보 등을 공유하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화면 캡쳐.)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하라고 해서 신청서 냈더니 소득이 높아서 못한대요. 내일채움공채도 업종 제한에 걸려서 안 된다고 합니다…대체 저는 뭘 가입할 수 있죠?” 서민금융진흥원이 운영하는 ‘청년도약계좌 정보공유 오픈카톡채팅방’에서 한 청년이 이같이 푸념했다.

'청년'을 타깃으로 한 정책금융상품이 연이어 나오는 가운데 금융교육에 대한 청년들의 수요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정책상품만 출시할 것이 아니라 이들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을 적극적으로 제공해 올바른 금융거래를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약 6000명의 청년이 서민금융진흥원이 운영하는 ‘청년도약계좌 정보공유 오픈카톡’에서 정보를 공유 중이다. 청년도약계좌 오픈채팅방은 서금원이 지난해 10월부터 관련 상품에 대한 궁금증과 정보를 공유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을 통해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층인 2030세대는 새벽에도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할 정도로 오픈채팅방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채팅방은 청년도약계좌 정보 공유를 위해 처음 공식적으로 열린 논의 공간이지만 서로의 경제상황과 투자법,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청년 금융상품 정보 등을 공유하는 공간으로도 이용된다. 특히 시·공간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어 서울, 경기뿐만 아니라 비수도권에 사는 이들, 해외거주자도 대화에 참여하고 있다. 사실상 비대면으로 금융정보를 얻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오픈채팅방 흥행은 청년의 금융교육 수요가 크다는 점을 보여준다. 수요 증가에는 청년 관련 정책상품이 활발히 출시·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 앞서 지난해 6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5년 만기 청년도약계좌가 운영을 개시했다. 올해 2월 말에는 국토교통부는 무주택 청년의 주택구입과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을 출시했다. 다음 달에는 금융위원회가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가입자의 ‘적금 공백’ 해소를 위해 일반적금보다 금리가 높은 1년 만기 청년도약플러스 적금을 내놓을 예정이다.

문제는 청년들이 직접 소통하는 온라인 공간에서 이뤄지는 정보 공유에는 정확성이 떨어지는 등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이다. 서금원은 오픈채팅방에 ‘오픈카톡방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서금원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고, 정식 상담을 원하는 경우, 서금원콜센터를 이용해 달라’고 명시했다.

24시간 운영되는 플랫폼이다 보니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불편도 있다. 주식리딩방 광고가 쏟아져 1분도 안 되는 시간 동안 100명이 넘게 채팅방을 이탈하는 일도 있었다. 서금원 관계자는 "잘못된 정보 등의 실시간 필터링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청년들이 익숙한 소통방식인 만큼 향후 정책 운영에도 활용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했다.

특정 정책에 한정해서 정보를 공유하는 형태이기에 실효성, 지속성 있는 교육 방식이 될 수 없다는 한계점도 있다. 한창근 성균관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상품의 금리, 정부 기여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소비, 투자 등 저축한 돈을 어떻게 하면 ‘내 상황’에 맞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를 알려주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154,000
    • +3.77%
    • 이더리움
    • 4,421,000
    • -0.02%
    • 비트코인 캐시
    • 604,500
    • +1.85%
    • 리플
    • 815
    • +0.62%
    • 솔라나
    • 294,800
    • +3.58%
    • 에이다
    • 815
    • +1.75%
    • 이오스
    • 781
    • +6.4%
    • 트론
    • 231
    • +0.87%
    • 스텔라루멘
    • 153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550
    • +1.89%
    • 체인링크
    • 19,430
    • -3.09%
    • 샌드박스
    • 405
    • +2.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