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UAM 실증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기도 했는데 나사와 동등한 조건에서 맺은 유일한 MOU라고 한다.
신산업이자 세계 시장을 선도할 기회를 맞고 있는 UAM 실증 현장을 확인 차 지난달 28~29일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을 찾았다. 이곳은 드론법에 따른 규제특례를 적용받아 무인비행장치 및 무인항공기에 대한 특별감항증명 등 행정절차가 간소화돼 있다. 고흥드론센터에서 UAM 전반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바로 옆에 있는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을 향했다. UAM 실종단지에서는 통합감시, 소음측정, 버티포트 등 기술투어를 하고 UAM 기체인 OPPAV의 사전 비행 시험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다.
이번 출장에서 놀라웠던 점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공연)의 박사급 연구원과 대기업 부장이 컨테이너에서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들이 따뜻한 남쪽 나라인 고흥에서 한참 더웠을 지난해 8월부터 실증에 들어갔다고 하니 갑자기 파행으로 끝난 새만금 잼버리가 생각나기도 했다. 다행히 에어컨이 한 대 있었지만, 세계를 선도한다고 시작한 UAM 실증이라기엔 사무실로 쓰이는 컨테이너가 안타까웠다. 실증은 1단계가 모두 완료되는 연말까지 진행되지만, 고흥 UAM 실증단지는 상시화해서 사용한다고 하는데 뒤늦게라도 제대로 된 사무실을 지어줬으면 어떨까 싶었다. 창피하게도 이 실증단지를 최근 미국 연방항공청(FAA)에서도 다녀갔다고 한다. 다행히 항공연 관계자에 따르면 이르면 올해 8월부터 수도권 및 서울에서 진행하는 2단계 실증에서는 제대로 된 사무실을 마련해 운영한다. 직원들이 컨테이너에서 일하는 데 따른 고충을 폭로했기 때문이란다.
안타까웠던 점 두 번째는 항공연이 개발한 UAM 기체 OPPAV를 직접 눈으로 보며 설명을 들을 때였다. 알다시피 UAM은 대중교통으로 운영된다. 일단 시장 초기에는 조종사가 타기 때문에 최소 4~5인승을 기본으로 현재 대부분 제작사들이 기체를 개발하고 있다. 근데 항공연 OPPAV는 1인승으로 제작됐다. 당장 내년 말 상용화를 위한 실증에 들어가는 기체인데 왜 1인승으로 개발됐을까 궁금했다. 항공연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했다고 한다. 원래 4~5인승으로 2019년 연구개발(R&D)비를 신청했지만, 절반(212억 원)으로 깎였고 어쩔 수 없이 1인승으로 개발했다는 얘기였다. 공항과 철도 개발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1조 원이 넘는 예산을 예비타당성조사도 받지 않고 배정하면서 정작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신산업에는 돈을 아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