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저출산·지역소멸과 같은 사회적 난제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사회정책 추진에 속도를 낸다.
교육부는 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주재한 올해 제1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2024년 사회정책방향'을 보고했다. '2024년 사회정책방향'은 올 한 해 사회부처가 협력해 추진할 주요 정책과제를 담은 것이다.
주요 해결 과제로는 △인구절벽 완화 및 인적자원 경쟁력 강화 △지역 성장동력 창출 및 균형발전 △디지털 적응력 강화 및 보편적 접근성 보장 △건강한 삶을 위한 안전 증진과 환경 보전△연대와 성장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사회 등 5가지를 꼽았다.
특히, 올해 데이터 기반으로 사회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각 부처가 보유한 데이터 개방과 연계를 통한 협업하고, 신규 통계 개발에도 나선다.
먼저 가정폭력 등 학업중단 위기 학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교육부, 여성가족부, 통계청 등이 협업해 ‘학령기 아동·청소년 기본통계(가칭)’ 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국책연구기관, 지자체·민간연구소와 학회 등이 참여하는 연구 협력 체계인 '사회정책 네트워크'도 구축해 각 기관 간 사회정책 공동연구・분석, 안건개발 지원 등을 실시할 방침이다.
그동안 정책의 혜택을 받지 못했던 사회적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한 '취약계층 범사회부처 협의회'도 지속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회의에서 먼저 비공개로 '제도개선 건의 안건'을 제출해 논의할 수도 있다. 그간 사회관계장관회의 이전 각 부처에서 마련한 정책을 심의해왔지만, 부처 협업 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발굴·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정부는 출생율 반등을 위해 올해 늘봄학교와 유보통합을 본격 추진하고, 일·육아 병행을 위해 중소·중견기업 육아기 시차 출퇴근제를 지원한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을 자녀연령 8세 이하에서 12세 이하로 완화하고, 근로시간 단축 기간도 최대 24개월에서 36개월로 늘린다.
지역별로는 교육·산업·문화 특구를 운영으로 지역 인재를 양성하고 복지서비스 거점기관을 지난해 18개에서 올해 30개로 확대해 지역 정주 여건을 개선한다. 학교 현장에서는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추진하는 등 교육·사회서비스 분야의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