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이 612만 명대로 내려가면서 1974년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기조 심화로 이동 경향이 큰 젊은층 인구가 줄고, 고령화 가속화로 이동 경향이 적은 고령 인구가 늘어난 영향이란 분석이다.
서울은 타 지역으로 떠난 인구가 123만8000명, 다른 지역에서 들어온 인구가 120만7000명으로 3만 명 넘게 인구가 순유출됐다. 34년째 순유출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입신고 기준 전국 이동자 수는 612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3000명(0.4%) 줄었다.
이동자 수 612만2000명은 1974년 529만8000명 이후 49년 만의 최저치다. 이동자 수는 전년대비 3년 연속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도 작년 12.0%로 1972년(11.0%)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임영일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20대 인구가 계속 줄고, 고령 인구는 증가해 이동자 규모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전국권 교통망이 좋아지면서 실제 이사를 하지 않고 왕래하는 경향이 높아진 것도 이동자 수 감소 요인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주택 매매량이 조금 늘어났지만 전월세 거래가 감소한 점도 인구 이동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연령별 이동률을 보면 60대 이상은 5.0∼7.0%로 젊은층인 20대(22.8%)와 30대(20.1%)보다 낮았다. 20대의 경우 인구 감소 여파로 이동률이 3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40대와 50대는 각각 11.0%, 8.7%를 기록했다.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4.0%), 가족(24.1%), 직업(22.8%) 순으로 총이동 사유의 80.9%를 차지했다.
다만 주택 때문에 움직였다는 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3만 명 줄었다. 직업 사유에 따른 이동자도 4만1000명 감소했다. 취업에 나서는 20대 인구 감소 탓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 순유입이 일어난 시도는 경기(4만5000명), 인천(3만4000명), 충남(1만6000명), 충북(4000명), 세종(2000명) 등 5개 시도다.
나머지 12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일어났다. 이 중 서울(-3만1000명), 경남(-1만6000명), 부산(-1만1000명)은 순유출 규모가 1만 명 이상이었다.
서울은 1990년 이후 작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는 123만8000명이었는데 전출 인구 중 60.5%는 경기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입 인구 120만7000명 중 경기에 이동한 인구 비율은 52.9%였다.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까지 6개 시도의 전입·전출 1순위 지역이 경기였다.
지난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의 경우 인구 4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전년보다 1만 명 늘었다. 수도권의 인구 순유입은 2017년부터 7년째 지속되고 있다.
전국 228개 시군구의 인구이동을 분석해보면 순유입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 중구(10.9%), 순유출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 계양구(-2.8%)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