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 화두로 떠오른 AI…세계 각국 규제 필요성↑

입력 2024-01-21 14:29 수정 2024-01-21 18: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IMF “세계 일자리 약 40%, AI 영향받을 것”
EU, 지난해 12월 세계 최초 ‘AI 법’ 도입 합의
“중국은 사회 통제 위해 AI 사용…서구와 큰 차이”
전문가 66%, 올해 최대 리스크는 ‘기후 위기’

▲18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회의 세션에서 한 사진기자가 로고 옆에서 촬영을 하고 있다. 다보스(스위스)/AFP연합뉴스
▲18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회의 세션에서 한 사진기자가 로고 옆에서 촬영을 하고 있다. 다보스(스위스)/AFP연합뉴스
세계 각국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현안을 논의하는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는 것을 배경으로 ‘AI 규제’가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고 일본 닛케이아시아가 21일 보도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4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전 세계 일자리의 약 40%가 AI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선진국과 일부 신흥국에서는 그 비율이 60%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AI의 영향력이 커지는 상황에서 각국 정부도 규제 필요성에 동의했다. 지난해 12월 유럽연합(EU)은 세계 최초로 ‘AI 법’ 도입에 합의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다보스포럼 연설에서 “각국 정부가 기술기업과 협력해 현재의 AI 개발과 관련된 위험 관리 토대를 마련하고 미래의 피해를 감시·완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일 폐막한 이번 다보스포럼에서는 AI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도 다뤄졌다. 베라 주로바 EU 집행위원은 “중국은 사회를 통제하기 위해 AI를 사용하고자 한다”며 “AI 규제 법안의 주요 쟁점은 AI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가 그 사용 범위를 정하는 것이었다. 이런 부분에서 중국과 서구의 가이드라인은 큰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 기후변화 위기를 인류 최대 위협으로 꼽았다. WEF가 다보스포럼 폐막에 맞춰 펴낸 ‘글로벌 리스크 리포트 2024’에 따르면 전 세계 전문가 1490명에게 올해 최대 리스크를 선택하라는 설문조사(복수응답 가능)에서 66%가 ‘극한의 날씨’를 골랐다. ‘AI가 생성한 가짜 정보’도 53%를 차지해 기후위기에 이어 두 번째로 응답률이 높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15,000
    • +11.16%
    • 이더리움
    • 4,647,000
    • +6.29%
    • 비트코인 캐시
    • 633,500
    • +5.58%
    • 리플
    • 859
    • +5.92%
    • 솔라나
    • 305,700
    • +6.4%
    • 에이다
    • 858
    • +6.58%
    • 이오스
    • 790
    • -0.25%
    • 트론
    • 234
    • +3.08%
    • 스텔라루멘
    • 158
    • +6.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50
    • +6.37%
    • 체인링크
    • 20,330
    • +3.41%
    • 샌드박스
    • 418
    • +6.0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