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혁신 전문가 65%, “국회 입법 활동, 규제 완화에 도움 안 돼”

입력 2023-11-14 13:39 수정 2023-11-14 14: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국회 입법 활동에 대한 평가 (자료제공=경총)
▲최근 국회 입법 활동에 대한 평가 (자료제공=경총)

학계 전문가 10명 중 6명 이상은 최근 국회 입법 활동이 기업 규제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절반 가량은 우리나라 기업 규제 수준이 경쟁국보다 높다고 지적했다.

14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전문가 200명을 대상으로 ‘최근 규제 혁신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4.5%가 최근 국회 입법 활동이 ‘기업 규제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반면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18.0%,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7.5%로 각각 집계됐다.

경총 관계자는 “킬러규제 개선 등 기업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는 규제 혁신 법안들의 국회 통과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정부의 규제 혁신 정책 추진에 대해 ‘부정적’으로 답한 응답은 54.5%로, 긍정 응답 45.5%를 웃돌았다. 부정적 평가 이유로는 ‘중장기 계획과 세부 내용의 구체성 부족’, ‘산발적 추진으로 부처간 유기적 연계 미흡’ 등이 꼽혔다.

경쟁국과 우리나라 기업규제 수준을 비교하는 물음에는 응답자의 49.5%가 기업 규제 수준이 미국, 중국, 일본 등 ‘경쟁국보다 높다’고 답했다. ‘경쟁국과 유사하다’는 응답은 38.5%, ‘경쟁국보다 낮다’는 응답은 12.0%로 각각 나타났다.

응답자의 45.5%는 개선이 시급한 규제로 ‘근로시간 등 노동 및 고용 규제’를 꼽았다. 이어 △중대재해처벌법 등 산업안전규제(29.0%) △상속세 등 세제 규제(28.5%) △수도권 정비 등 입지 규제(22.0%) △화학물질 등 환경 규제(20.5%) 순으로 답했다.

▲역대 정부의 규제혁신 실패 이유 (자료제공=경총)
▲역대 정부의 규제혁신 실패 이유 (자료제공=경총)

역대 정부의 규제혁신 실패 원인에는 응답자의 42.5%가 ‘기득권 세력의 규제 혁신 반대’를 지목했다. 그 외에 ‘규제 혁신을 기업 특혜로 오인하고 반기업 정서가 확산돼서’라는 응답이 39.5%, ‘공무원의 칸막이식 행정과 책임 전가’라는 응답이 35.0%로 집계됐다.

응답자의 58.0%는 규제 혁신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과제로 ‘의원입법안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제 도입’을 꼽았다. 정부 입법안처럼 의원입법안에도 입법 예고와 규제 심사를 적용하자는 것이다.

이외에도 적극 행정에 대한 공무원 면책제도, 규제일몰제 확대 적용, 공무원의 규제개선 성과 평가 및 보상 강화를 꼽은 응답도 각각 40% 안팎으로 나타났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절반에 가까운 전문가들이 지적할 정도로 우리나라 기업 규제 수준은 주요 경쟁국에 비해 높아 투자 메리트를 낮추고 있다”며 “1%대 저성장의 늪에서 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혁신해 기업이 손쉽고 빠르게 투자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알림] 이투데이, '2024 CSR 영상공모전'... 27일까지 접수
  • ‘어둠의 코시’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으로 향하는 매직넘버는? [해시태그]
  • 경영권 분쟁에 신난 투자자들…언제까지 웃을 수 있을까
  • Z세대의 말하기 문화, 사회적 유산일까 문제일까②[Z탐사대]
  • 와신상담 노리는 삼성…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 생산 누구에게?
  • 고려아연-영풍, 치닫는 갈등…이번엔 '이사회 기능' 놓고 여론전
  • “비싼 곳만 더 비싸졌다”…서울 아파트값, 도봉 7만 원 오를 때 서초 1.6억 급등
  • ‘당국 약발 먹혔나’ 9월 가계 빚 '주춤'… 10월 금리인하 가능성↑
  • 오늘의 상승종목

  • 09.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3,831,000
    • -0.54%
    • 이더리움
    • 3,447,000
    • +1.17%
    • 비트코인 캐시
    • 452,700
    • +0.33%
    • 리플
    • 793
    • +1.54%
    • 솔라나
    • 194,500
    • -1.12%
    • 에이다
    • 471
    • -0.63%
    • 이오스
    • 692
    • +0.29%
    • 트론
    • 203
    • +0%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450
    • -0.77%
    • 체인링크
    • 15,040
    • -0.79%
    • 샌드박스
    • 372
    • +0.5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