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IEA는 이날 기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을 3배 확대하도록 제언하는 내용을 담은 기후 변화 대책 보고서를 발표했다.
IEA는 지구온난화 대책을 위한 국제적 틀인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지구의 기온 상승을 산업혁명 이전 대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용량을 추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을 2030년까지 올해 대비 3배 늘리면 총 110억kW가 된다. 이는 2021년 기준 화석 연료 발전 용량의 두 배다.
이러한 계획이 실현되면 2030년 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 용량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70% 안팎이 될 전망이다.
재생에너지 보급이 대폭 진행되면 화석 연료 수요는 2030년까지 25%가량 줄어든다. 이를 위해 필요한 투자액은 2030년대 초반 연 4조5000억 달러로 집계됐다.
IEA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약 70억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중국의 전력 부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총량과 맞먹는 규모다.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은 기술의 성숙과 보급에 따라 도입 기간이 짧아지고 비용도 저렴해지고 있다. IEA는 “신흥국과 개도국의 도입 확대가 향후 과제”라며 선진국에 의한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동남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의 도입 확대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재생에너지 용량을 2030년까지 3배로 늘린다는 목표는 국제사회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고 있다. 주요 7개국(G7)은 5월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 도입 규모를 10억Kw 이상으로, 현재 대비 3배 이상 늘리기로 합의했다. 인도에서 9월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재생에너지 3배 목표를 선언에 명시했다.
국제사회는 올해 11~12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리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회의(COP28)에서 합의를 위한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190개국 이상이 참여하는 유엔 협상에서 이러한 의견을 모으면 파리기후협약 목표 달성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기술 이전 및 자금 지원을 요구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