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5세 이상 고령 인구(노인 인구)가 950만 명으로 늘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2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인구의 고용률은 30% 이상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으며 취업 노인 10명 중 9명 정도가 스스로 생활비를 마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노인 인구는 95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를 차지했다. 2010년과 비교해 노인 인구 비중이 7.5%포인트(p) 상승했다.
통계청은 노인 인구 비중이 2025년엔 20.6%로 늘어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전체 인구 중 노인 인구 20% 이상)로 진입하고, 2070년(46.4%)에는 인구 절반 가까이를 노인이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고령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지역은 전남(25.5%), 경북(23.9%), 전북(23.4%), 강원(23.3%), 부산(22.2%), 충남(20.4%) 등 6곳이다.
노인 인구가 늘면서 일하는 노인도 증가했다. 작년 기준 전체 노인 인구 중 취업한 노인 비중은 36.2%(고용률)로 10년 전인 2012년보다 6.1%p 늘었다. 비취업자 노인 비중은 2012년 69.9%에서 2022년 63.8%로 지속 감소했다.
2021년 기준 OECD 회원국(38개국) 중 평균 고용률 15.0%를 상회하는 국가는 한국(34.9%), 일본(25.1%), 스웨덴(19.2%), 미국(18.0%) 등 11개국이며, 우리나라가 가장 높다.
2021년 기준 취업 노인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배우자 부담이 93.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정부·사회단체(3.8%), 자녀·친척지원(3.2%) 순이었다.
비취업 노인의 경우 본인·배우자 부담(52.0%), 자녀·친척 지원(24.6%), 정부·사회단체(23.5%) 순으로 많았다. 취업 노인의 소득 및 소비 만족도는 각각 20.7%, 13.9%로 비취업 노인보다 각각 7.8%p, 4.0%p 높았다.
건강 상태 인식에 대해서도 취업 노인과 비취업 노인 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본인이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취업 노인은 37.5%로 비취업 노인(21.9%)보다 15.6%p 높았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비중 역시 취업 노인(34.4%)이 비취업 노인(36.4%)보다 2.0%p 낮았다.
취업 노인 중 81.9%는 향후 자녀와 동거를 희망하지 않았고, 68.1%는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취업 노인보다 각각 9.0%p, 16.7%p 높은 수치다.
노인 인구의 빈곤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21년 기준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은 39.3%로 전년보다 1.1%p 줄었지만 OECD 회원국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2020년엔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66세 이상 은퇴연령층 상대적 빈곤율 1위(40.4%)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2022년 노인 가구의 순자산액은 4억5364만 원으로 전년대비 4316만 원 늘었다. 부동산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2.4%로 다른 연령대보다 가장 높았고, 저축은 12.4%로 가장 낮았다.
노인 인구의 57.6%는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공적연금 수급률은 2020년 52.9%, 2021년 55.1%, 2022년 57.6%로 매년 증가 추세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5~69세의 연금 수급률이 66.1%로 가장 높았고, 70~74세(61.4%).75~79세(61.4%), 80세 이상(39.1%) 순이었다.
고령자 학대 피해 경험률 조사에서는 피해 경험률이 노인 10만 명당 75.5명으로 전년 대비 3.5명 감소했다. 여자의 학대 피해 경험률은 103.3명으로 남자(39.7명)보다 높았다. 학대 피해 경험률은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으며, 80세 이상의 학대 피해 경험률이 115.7명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