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 편취형’수법에 예방 중요
인공지능기술로 이상징후 탐지
모니터링 부서 등 전담인력 충원
경찰청‧교육청과 협업해 효율↑
생활비 등 보이스피싱 피해자 지원도
보이스피싱의 주된 타깃은 노약자나 중·저신용자, 금융에 대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소외층이 대다수다. 이들은 ‘그놈 목소리’에 순간 당황해 은행 현금입출금기(ATM)기로 달려가거나 은행 창구를 이용한다. 은행권이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해 직원들에게 교육을 강화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고도화되면서 은행권이 내놓은 예방책도 다양해졌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전담 인력을 충원하는 등 사전 예방에 총력을 펼치는 상황이다. 피해자 구제책은 아직 미흡하다는 지적에 피해 고객의 회복을 돕는 ‘안심보상제’ 등 사후 시스템까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날 시중은행 최초로 실시간 영상으로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영상확인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상 금융거래가 발생하면 직원이 영상통화를 통해 해당 고객이 본인이 맞는지 확인한다. 신한은행은 금융거래 중인 고객이 예금주 본인과 다르거나 본인 확인에 응하지 않을 경우 거래를 중단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들이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후 피해금이 입금된 계좌(대포통장)를 정지하는 사후 처리 방식이 아닌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범죄 수법이 피해자를 직접 만나 현금을 가로채는 ‘대면 편취형’으로 진화하면서다. 대면 편취형 비중은 2019년 8.6%에서 지난해 64.3%로 급증했다.
이상 징후 탐지를 위해 AI를 적극 활용 중이다. 우리은행은 AI 기반 이상거래탐지시스템(AI-FDS)을 시행하고 있다. 사기이용계좌 적요 문구와 자동화기기 이용내역 패턴 등을 분석해 AI분석모델에 반영해 보이스피싱 적중률을 높였다.
모니터링 전담 인력을 충원한 은행도 있다. IBK기업은행은 평일 야간, 주말 보이스피싱 모니터링 전담 인력을 채용했다. 모니터링 전담 인력은 제1금융권 경력이 30년 이상 되는 지점장급 퇴직 직원들로 구성돼 있다. 케이뱅크도 금융사기 조사 부서와 모니터링 부서 등 업무별로 전담 부서를 두고 있다.
공공기관과의 협업도 마다하지 않는다. KB국민은행은 경찰청과 함께 대포통장 감축 및 정보 취약계층 고객 보호를 위한 지원 등 보이스피싱 근절에 나섰고 하나은행은 교육부와 함께 디지털 문해 교과서를 개발한다. 또 금융사기 예방과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교육 운영도 지원한다.
사후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피해자의 회복을 돕는 시스템도 마련 중이다. 보이스피싱은 피해자가 사기범의 은행계좌로 돈을 입금했어도 사기범이 곧바로 간편송금 계정으로 옮기고 이를 다시 타 은행계좌로 옮길 경우 피해 구제가 어렵다. 은행권은 고객이 피해를 입더라도 안정적인 금융생활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 피해자 구제책을 만들었다.
신한은행은 신한금융의 ‘보이스피싱 피해자 지원 및 예방사업’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올해 5월에는 3년간 총 300억 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기탁해 △피해자 중 취약계층 생활비 지원 △예방 교육, 보이스피싱 보험 제공 △심리·법률 상담 △대국민 홍보·캠페인, 정책 개발 등을 추진한다. 토스뱅크는 금융사기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안심보상제’를 운영한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고객의 금융사기 피해를 사전에 막는 것은 물론 실질적으로 돕는 게 은행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무 중 하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