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정수소 인증제를 도입하고 선진국 수준의 과감한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9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국내 수소 산업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제4차 탄소중립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참석한 기업과 전문가들은 탄소 배출량에 근거한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과 수소 산업 생태계 육성과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 생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탄소 배출량이 적은 수소를 인증하는 제도다. 주요국에서는 청정수소 등급에 따라 인센티브를 차등 지급하고 있다.
미국은 청정수소 인증제를 통해 청정수소 최소 기준을 수소 제조 1톤당 탄소 배출 4톤 이하로 설정하고,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라 수소 생산과 시설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권형균 SK E&S 부사장은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한 실질적 대안은 블루수소”라며 “블루수소 산업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청정수소 인증제를 연내 시행하고 주요국 수준의 과감한 인센티브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학 롯데케미칼 수소에너지사업단 상무는 “수소 인프라 구축 및 청정수소 시장 조성을 위해 초기에는 다소 완화된 기준을 적용해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수소 공급과 수요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은 이후부터 단계적으로 청정수소 기준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송 부문을 대표해 참석한 신승규 현대자동차 전무는 “전기자동차 전환이 어려운 버스, 트럭 등의 상용차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전기자동차와 같이 조기 전환에 따른 보조금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철완 서정대 교수는 “수소는 중소규모 전력 단기 저장뿐 아니라 대규모 직접 연소, 수소환원 등 연료와 원료로서 에너지와 산업 전반에 온실가스 감축 이상의 중요성을 갖고 있다”며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을 국가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청정수소 인증제와 청정수소 발전 제도 등 국내 수소 관련 정책을 빠른 시기에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해외 청정수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