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64.3%), 공공부문(44.0%) 꼽아
직장 선택 고려사항 ‘임금 및 복지 수준’ 1순위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
청년 구직자 10명 중 6명은 대기업 취업을 선호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청년 구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청년세대 직장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년들이 선호하는 직장(복수 응답)은 대기업(64.3%), 공공부문(44.0%), 중견기업(36.0%) 순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중소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5.7%에 그쳤다.
청년 구직자들은 직장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임금 및 복지 수준’(86.7%)을 꼽았다. 이어 ‘근로시간’(70.0%), ‘근무환경’(65.7%), ‘고용 안정성’(57.0%), ‘기업 위치’(44.0%)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신입사원 초봉에 대해서는 ‘3000~3500만 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9.0%로 가장 높았다. 이어 ‘3000만 원 미만’(20.0%). ‘3500~4000만 원 미만’(19.0%) 순으로 응답했다.
최근 대기업 생산직 채용에 수만 명의 청년 지원자들이 몰린 이유도 ‘높은 임금과 복리후생’ 때문이라는 응답이 71.7%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대기업 소속직원이라는 평판’(44.3%). ‘고용 안정성’(37.3%). ‘근무시간 등 우수한 근무환경’(31.7%) 등을 꼽았다.
청년들의 대기업·공공부문 선호 현상은 일자리 미스매치를 심화하고 청년층의 일자리 사정을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의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적극적 구인 활동에도 채용 못 한 미충원 인원이 18만5000명으로 역대 최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중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의 미충원 인원이 17만3000명(93.7%)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반면 지난달 청년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2000명 줄었다.
중소기업에 대한 낮은 선호는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청년들의 부정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에게 중소기업 일자리에 대한 생각을 물은 결과 ‘업무량에 비해 낮은 처우’(63.3%), ‘워라밸 실현 어려움’(45.3%), ‘불투명한 미래성장’(43.7%), ‘낮은 고용 안정성 우려’(39.3%), ‘사회적으로 낮은 인식’(37.0%) 등 순으로 응답했다.
청년 일자리 문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46.7%)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경기활성화정책’(40.7%), ‘노동시장 개혁’(33.3%)이 뒤따랐다. 이어 ‘기업투자 촉진’(24.7%), ‘일자리 미스매칭 해소’(23.0%), 대졸자 과잉해소 등 교육개혁’(18.3%), ‘4차 산업혁명 인력 수요에 맞게 재교육’(12.7%) 등 순이었다.
중소기업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물었을 때 응답자들의 78.0%가 ‘임금수준 향상’을 꼽았다. ‘워라밸 보장’(62.0%)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42.0%), ‘안전한 일터 조성’(39.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수출감소가 7개월째 이어지고 있고 글로벌 경기둔화, 대중교역 약화 등 수출조건이 개선 여지가 보이지 않고 있어 청년고용시장은 한동안 얼어붙을 수 있다”며 “청년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는 것이 관건으로 적극적인 규제와 노동시장 개혁을 통해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여력을 넓혀 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