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V 아키텍처 도입 예고한 테슬라…“차량 경량화 도움될 것”

입력 2023-04-10 09: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車연구원, 보고서 통해 테슬라 전략 분석
48V 도입 시 전력 효율↑, 차량 무게는↓

▲Tesla의 전기전자 아키텍처 개선 및 배선 단순화 사례. (사진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Tesla의 전기전자 아키텍처 개선 및 배선 단순화 사례. (사진제공=한국자동차연구원)

테슬라가 지난달 48V(볼트) 기반 전기·전자 아키텍처(구조)를 도입한다고 밝히며 향후 전기차의 무게가 가벼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호중 한국자동차연구원 책임연구원은 10일 ‘테슬라의 48V 아키텍처 도입의 의미’ 보고서를 발표하고 테슬라의 48V 아키텍처 도입 목적이 “구조적으로 전력효율을 높이고 차량 경량화를 보다 진전시키는 것에 있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지난 3월 인베스터 데이를 통해 기존 12V 아키텍처에서 48V 아키텍처로의 전환을 예고했다.

1960년대 이후 자동차 전장 부품의 표준 전압은 12V로 유지됐다. 그러나 최근 자동차에 각종 전자 장비가 탑재되고, 이에 필요한 전류를 감당하기 위해 차내 배선이 복잡해지고 전선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테슬라는 올 하반기 양산 목표인 ‘사이버트럭’과 향후 출시 차량 등에 모두 48V 아키텍처를 적용한다. 48V 아키텍처로 전환 시 배선을 단순화하고 전선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차량 경량화 및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서다. 또한 전장 부품의 전력 손실을 줄이고, 전력 변환 시스템 효율을 개선해 전력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 연구원은 테슬라의 행보가 부품 생태계에 대한 테슬라의 장악력이 충분히 강화됐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도 말했다.

사이버트럭의 양산이 임박한 시점에서 48V 적용을 선언했다는 점은 새로운 규격의 부품을 적정 비용으로 양산할 수 있도록 관련 부품 기업들과 협의를 완료하였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또한 48V 아키텍처로 전환의 이점이 실제로 증명된다면 여타 완성차 기업의 추격 부담이 커질 것으로도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일부 완성차 기업은 여러 계층의 부품 기업과의 장기 협력으로 생긴 조직적 관성 때문에 48V 전환의 필요성을 인정하더라도 실질적인 전환에 오랜 기간이 걸릴 것”이라며 “48V로 전환하려면 부품 공급선과 개발·구매 부문 조직·인력 변화 등이 필연적으로 수반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084,000
    • +3.69%
    • 이더리움
    • 4,425,000
    • -0.11%
    • 비트코인 캐시
    • 604,000
    • +1.77%
    • 리플
    • 816
    • +0.87%
    • 솔라나
    • 295,000
    • +3.47%
    • 에이다
    • 815
    • +1.88%
    • 이오스
    • 780
    • +6.12%
    • 트론
    • 231
    • +0.43%
    • 스텔라루멘
    • 153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350
    • +1.65%
    • 체인링크
    • 19,490
    • -2.99%
    • 샌드박스
    • 407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