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유족급여 승인 기준 산업재해 사망자가 전년보다 46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노동부는 2일 국가승인통계인 ‘2022년 산업재해 현황’ 중 ‘유족급여 승인 기준 사고사망 현황’을 발표했다. 해당 통계는 지난해 한 해 동안 근로복지공단의 유족급여 승인 건수를 집계·산출한 통계다. 2021년 이전 재해가 발생했어도 지난해 유족급여 승인이 이뤄졌다면 지난해 수치로 집계된다. 따라서 연도별 산업재해 사망자 수와는 차이가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지난해 유족급여 승인 기준 사고사망자는 874명으로 전년(828명)보다 46명 늘었다. 산업재해보상보험 적용 근로자 1만 명당 사고사망자 수는 0.43명으로 전년과 같았다.
업종별 사망자 수는 건설업이 402명(46.0%)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184명, 21.1%), 서비스업(150명, 17.2%), 운수·창고·통신업(104명, 11.9%)이 뒤를 이었다. 건설업과 제조업은 매년 전체 사고사망자의 70% 이상을 차지했으나, 지난해엔 그 비중이 67.1%로 떨어졌다. 다만 서비스업과 운수·창고·통신업에서 사망자가 각각 27명, 32명 늘며 비중이 확대됐다. 재해유형별로는 떨어짐이 322명(36.8%)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딪힘(92명, 10.5%), 끼임(90명, 10.3%) 등 순이었다. 떨어짐, 끼임 사고는 줄었지만 부딪힘, 사업장 외 교통사고 등에서 늘었다. 사업장 외 교통사고의 경우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고)인 퀵서비스 기사를 중심으로 사고사망이 증가했다.
규모별로 5~49인 사업장에서 365명(41.8%)으로 가장 많았고, 5인 미만(342명, 39.1%), 50~299인(120명, 13.7%), 300인 이상(47명, 5.4%)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80명, 43.5%), 50~59세(259명, 29.6%), 40~49세(134명, 15.3%) 등 순이었다.
고용부는 기존에 발표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인공지능(AI) 경보장치, 웨어러블 장비 등 사업장 내 스마트 기술 도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특고 종사자에 대해선 기초안전보건교육과 더불어 보수교육을 도입하고, ‘1인 작업자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특고 종사자가 스스로 필요한 안전조치를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