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운 씨는 8년간 정보업계에서 일을 했다. 하지만 스트레스로 지쳐 건강에 문제가 생겼고 이때 부친이 농업을 권유하면서 귀농을 선택했다. 안 씨는 현재 연 매출 약 5억 원 규모의 복분자와 아로니아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백운팜의 대표가 됐다.
#대구은행과 위드코비 등 금융업에 종사하던 박덕수 씨는 회사를 그만두고 한국농수산대학에 입학했다. 농업에 비전이 있다는 판단이 들어서다. 대학을 졸업하고 영농을 시작했고, 사과를 재배하며 지난해에는 1억1500만 원이 매출을 올렸다.
고령화에 접어든 농업과 농촌에 활력을 불어놓기 위해 정부가 후계·청년농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2027년까지 3만 명의 후계·청년농을 육성한다는 목표로 정착지원금과 농지 취득 자금 등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제1차(2023~2027년)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현재 청년농은 12만4000명(2020년 기준)으로 전체 농업인의 1.2%에 불과하다. 고령농 이탈에 따른 농업 생산기반 감소를 막기 위해 향후 5년 동안 2만6000명의 청년농이 새로 유입돼야 한다는 분석에 따라 농식품부는 2027년까지 청년농 3만 명을 육성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농정착지원사업 선정 규모를 올해 2000명에서 내년 4000명으로 확대한다. 정착지원금 지급액도 월 최대 100만 원에서 110만 원으로 인상하고, 최장 3년간 지급할 방침이다.
귀농·창농의 걸림돌이 되는 농지에 대해서는 청년농 생애 첫 농지 취득 지원 기준을 100㏊에서 140㏊로 늘리고, 융자 지원도 ㏊당 1억5400만 원에서 2억5400만 원으로 높였다. 융자 지원을 뺀 나머지 본인부담금에 대해선 최대 3억 원까지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한다.
영농 경력 10년 미만 농업인에게 투자금을 빌려주는 후계농업경영인 선정 규모도 내년에는 5000명으로 확대한다. 후계농을 위한 융자자금 지원 한도 역시 3억 원에서 5억 원으로 상향하고, 금리는 기존 2%에서 1.5%로 낮춘다. 반면 상환 기간은 현행 최대 15년에서 25년까지 늘려 상환 부담을 줄였다. 이 조치로 청년농의 연 상환 부담이 약 45% 감소한다고 농림식품부는 설명했다.
스마트팜을 시작하는 경우 최대 30억 원까지 융자(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하며, 운영 중 일시적 경영 위기 시 1년간 상환을 유예(최대 3회)하도록 해 청년농의 경영 안전망을 강화한다. 청년농 전용펀드(영파머스펀드)를 2027년까지 1000억 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다.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 청년들이 농촌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현재 5곳에 마련된 임대주택단지 '청년농촌보금자리'를 9곳으로 늘린다. 농촌에 특화한 국공립 돌봄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27년까지 청년농 3만 명을 육성하고 이후에도 유입 추세가 계속된다면 2040년에는 청년농 비중이 10%까지 증가할 것"이라며 "청년농 유입으로 농업의 혁신과 미래성장 산업화를 뒷받침하겠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이투데이 공동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