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업계의 해외 용접공 인력 수급에 경광등이 켜졌다.
9일 조선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말부터 주요 조선 사업장에 투입될 예정이던 베트남 전문인력비자(E7) 용접 근로자 1150명의 연내 입국이 사실상 힘들어지면서 비상이 걸렸다. 1150명은 전체 외국인 용접공 수요의 41%에 달한다.
현지 인력중개 업체 5곳~6곳이 일부 용접공의 베트남 노동부 승인을 누락하고 학력이나 경력을 속인 것이 발각돼 전체 인원이 재심사받고 있다.
용접은 전체 선박 제작 공정의 70%를 차지한다. 입국에 차질이 빚어진 베트남 용접 근로자(1150명)는 지난해 외국인 전체 용접 근로자 도입 인원(600명)의 2배에 육박한다. 사상 최대 규모 수주로 올해 조선업의 외국인 용접공 수요는 2800명으로 급증했다
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조선업의 핵심인 용접, 도장, 전기 등 생산기능직 부족 인력은 내년 6월 1만1099명에 달할 전망이다. 2027년까지 3만6000명이 더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베트남 용접공 입국 지연으로) 당장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것”이라며 “베트남 용접공 뿐 아니라 다른 국가도 알아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인력 부족 체감도 조사에서도 조선이 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보다 인력난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미래 신 주력산업으로 꼽은 △반도체 △미래차 △조선(친환경 선박 등) △바이오헬스 산업 분야 415개사(응답 기업 기준)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선업종 기업의 절반 이상(52.2%)은 현재 인력이 부족한 상황(‘매우 부족’, ‘부족’)이라고 응답했다.
거제, 울산, 창원 등 지역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조선업계 협력사들은 젊은 층의 생산직 기피 현상 등으로 생산 현장의 허리가 끊겼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조선업의 경우 인력이 부족한 이유로 ‘고용 이후 잦은 이직·퇴직’(38.3%)과 ‘경력직 지원자 부족’(33.3%)을 가장 많이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