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 근무방식이 창의성과 다양성이 중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지 않은 낡은 틀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주요 5개국(G5)에 비해 경직적이어서 국제표준에 맞게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한국과 G5 간 근로시간 제도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근로시간 제도는 1일과 1주 단위로 겹겹이 규제하고 있다고 4일 밝혔다. 특히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의 단위 기간도 가장 짧고, 다양한 근로시간 적용 예외 제도가 부재해 경직적이라는 분석이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의 법정 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 이중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영국은 1주의 근로시간만, 독일은 1일의 근로시간만 제한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연장근로 시간도 한국은 주 단위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지만 미국은 연장근로 제한이 없고, 일본과 프랑스는 월 또는 년 기준으로 규정해 일시적으로 업무가 증가하더라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연장근로수당도 한국이 G5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한국은 50% 수준이나, 일본과 프랑스는 25%~50%이며, 독일과 영국은 노사 간 단체협약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국은 특정 기간에 업무량이 몰릴 때 활용할 수 있는 탄력적·선택적 근로시간 단위 기간도 G5와 비교 시 가장 짧았다. 탄력적 근로시간의 단위 기간은 한국이 최대 6개월이지만, 미국·일본·독일·영국은 1년, 프랑스는 3년까지 가능하다.
선택적 근로시간의 단위 기간도 한국은 원칙적으로 1개월(신상품, 신기술 연구개발 업무만 3개월)까지 가능하지만, 일본은 3개월, 미국·독일·영국·프랑스는 노사 간 합의에 따라 기간을 정할 수 있어 한국보다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에서는 한국에 없는 다양한 근로시간 규제 예외 제도를 도입해 각 업무 특성에 맞게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일본은 근로시간에 비례해 업무 성과를 측정하기 어려운 고소득 전문직의 경우 근로시간 규제를 제외하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과 ‘고도프로페셔널’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독일에는 연장근로 시간을 자신의 계좌에 저축하고 휴가나 휴식이 필요할 때 자유롭게 꺼내 쓰는 근로시간계좌제가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기변동과 외부 수요에 맞춰 근로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근로자는 일과 생활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돼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2018년 기준 500인 이상 사업장 85%가 도입 중이다.
또 독일은 업무가 있을 때마다 근로자를 호출해 일을 시키는 호출유연근로제도도 있으며, 2017년 기준 전체근로자 중 15.3%가 이에 해당할 정도로 활용률이 높다.
영국에서도 독일의 호출유연근로제도와 유사한 0시간 근로계약이 있다. 이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간호사, 교사, 행정업무, 청소근로자, 아이 돌봄 등 다양한 직종에서 활용 중이다. 이러한 근로계약 제도는 독일과 영국 외에도 아일랜드,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웨덴 등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근로시간 위반에 대한 처벌 수준도 한국이 G5 대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근로시간 위반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있으나, 미국은 처벌 규정이 아예 없고, 프랑스는 벌금형만 부과, 독일은 원칙적으로 벌금형이나 근로시간 규제를 고의·반복적으로 위반할 때만 징역형을 부과하고 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현재 우리의 근로시간 제도는 과거 산업화 시대의 집단적이고 획일적인 근무방식에 적합한 것으로 창의성과 다양성이 중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맞지 않는 낡은 틀”이라면서 “향후 우리도 선진국들의 근로시간 제도를 참고하여 근로시간 유연화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