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국내 고용지표가 회복세를 보였지만 청년층 고용회복 지체와 지역별 고용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3일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2021년 4분기)'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경총은 보고서를 통해 "2021년 4분기 고용지표는 지난 2~3분기에 이어 일자리가 늘어나고 실업률이 떨어지는 등 회복세를 보인다"며 "다만 최근 고용지표 회복의 상당 부분은 기저효과에 기인하고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총은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으로 △청년층 고용회복 지체 △공공ㆍ준공공 부문에 집중된 고용회복 △지역별 고용회복세 차별화 등을 꼽았다.
경총은 최근 청년층(15~29세)의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이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경총은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도 감소했지만 만성적 비취업자로 볼 수 있는 ‘쉬었음’, ‘취업준비’는 오히려 코로나19 이전보다 각각 15.2%, 8.6%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경총은 코로나19 고용 충격을 공공 준공공 부문에서 흡수했다고 진단했다.
경총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기에 발생한 실업자 가운데 상당수가 민간부문보다 공공ㆍ준공공 부문(공공행정, 보건ㆍ복지업)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며 "때문에 향후 경기회복이 지속하더라도 고용회복 속도는 더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용회복세가 지역에 따라 차별화되면서 지역별 고용 양극화도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총은 "최근 취업자가 늘고 있지만 고용회복세에 지역별 편차가 존재한다"며 "경기도와 세종시는 강한 회복세를 보인 반면 울산시와 경북은 약한 회복세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경총은 완전한 고용회복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만성적 비취업 청년에 대한 취업 지원 서비스 강화 △산업구조 전환을 반영한 노동개혁 추진 △지역별 맞춤형 고용대책 수립 등을 강조했다.
경총은 비취업 청년에 대한 취업 지원 서비스 강화의 일환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취업 정보 플랫폼 구축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청년 전담 고용지원 센터ㆍ전담 서비스 확충으로 비취업 청년에게 취업 지원 서비스의 접근성 및 전문성 강화하는 방안을 내놨다.
아울러 4차 산업혁명과 비대면 산업에 맞는 고용정책이나 교육정책 등 근본적인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산업구조 전환에 대한 모니터링과 동시에 인력양성, 기업지원 정책 정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경총은 "지역별 맞춤형 고용대책 수립에 있어 지역별 산업 및 고용구조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고용대책’ 추진 필요하다"며 "이와 함께 지역별 직업훈련체계 정비, 지역별 고용지원센터 활성화를 통한 지역 고용 창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