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수출의 10% 미만에 불과한 신선농산물 수출을 위해 경쟁력을 가진 기업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 최근 부상하고 있는 식량 안보를 위해 K-스마트팜의 안정적 정착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투데이가 21일 ‘K-농업의 첨단화와 수출 대응 방안’를 주제로 개최한 자유무역협정(FTA) 패러다임 시프트 오픈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농업의 첨단화와 수출을 위해 스마트팜의 기술발전과 이를 통한 청년창업농 육성이 시급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오래전부터 농업 수출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책적으로 다양한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 농식품 수출이 100억 달러밖에 못 된다”며 “그중에 10% 미만이 직접 농업 농촌의 신선농산물 수출”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수출을 가장 잘하는 나라ㅇ;고 수출만 하고도 먹고산다”며 “유독 농식품 분야에서 제약이 있다”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수출기술은 기업이 갖고 있고 첨단, 스마트팜 모두가 자본이 뒷받침해야 한다”며 “농식품 수출 얘기할 때 경쟁력이 잠재돼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영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조정실장은 “최근 경제안보, 무역안보가 크게 부상하고 있다”며 “농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도 식량안보는 중요한 이슈”라고 밝혔다. 김 실장은 “그런 관점에서 비단 수출을 위해서가 아니라 식량안보를 위해 K-스마트팜이 안정적으로 정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공급망 이슈가 부상하고 있다”며 “예전에는 어느 나라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느냐에서 요즘엔 얼마나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대표적으로 반도체, 스마트팜도 센서나 반도체 이런 게 더 중요해질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주원 연암대학교 차세대농업기술센터장은 “네덜란드가 기술적인 부분에서 하이테크 수준이고 한국은 미들테크로 중간 수준”이라며 “그러나 중간 수준으로도 기술융합이 된다면 수출로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고민하는 중동과 러시아연방 등을 스마트팜 주 수출 대상으로 꼽았다. 김 센터장은 “이런 국가에서 알게 모르게 많은 우리 기업들이 진출해서 농업기술을 전파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아쉬운 점은 농업기술 수출을 백업할 수 있는 자본이나 지속해서 일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김 센터장은 내년 겨울에 열리는 카타르 월드컵을 주목했다. 그는 “위드코로나와 함께 월드컵을 관람하게 될 텐데 채소류, 과채류, 식량 등 기술을 수출하고 전략적 품목도 수출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스마트팜으로 온도와 광조절만 가능하면 열대과일도 국내에서도 남극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며 바나나를 재배하고 있는 제주도와 충북농업기술진흥원이 추진하고 있는 바나나 재배기술을 소개했다.
류인석 농협중앙회 창업농지원센터장은 “청년농부사관학교 교육생이 700시간 넘게 교육을 받았는데 정부인증 100시간을 수료해야 청년창업농 자금(월평균 90만 원)을 받을 수 있다”며 “소비자 중심, 농촌에 정착하겠다는 사람을 중심으로 생각하면 답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최봉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과장은 “생각의 전환이 중요한데 FTA를 추진하면서 농업계는 큰 손실이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 과거 사례를 갖고 미래를 예단하는 현상이 많았다. 과거 안 좋은 사례도 있었지만, 생각을 바꿔보면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생각이 바뀌고 새로운 방안을 찾는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분야도 있다”며 “스마트팜, 수출증대는 꼭 해야 한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늘려가고 있다. 수출도 계속했지만 안 되는 부분이 있다. 품목별로 국가별로 정돈해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