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초성능, 초공간, 초정밀 등으로 대표되는 6세대(6G) 핵심기술 표준 선점을 위해 2025년까지 2200억 원을 투입한다.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직 진출로 국제표준 논의를 주도하고 전문 인력양성도 본격화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다가올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민ㆍ관 합동 ‘6G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6G 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국제 사회에서는 6G의 상용화를 2028~2030년 사이로 예상한다. 미국ㆍ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도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미국은 DARPA(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 주도 장기 R&D에 착수한 이후 최근 주요 우방국과 6G 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2019년 6G 전담기구를 출범하고 일본도 2020년 민관 합동 ‘Beyond 5G 컨소시엄’을 구성ㆍ운영 중이다.
6G R&D 실행계획에는 세계 최고 6G 기술 강국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국제표준ㆍ특허 선점 △연구ㆍ산업 기반조성 등 3대 전략에 대한 세부 실행 계획이 담겼다.
당장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2025년까지 총 2000억 원, 올해 기준 총 179억 원(12개 과제)을 투자한다. 이동 중인 비행체와 해상ㆍ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ㆍ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위성ㆍ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14기의 검증용ㆍ실증용 저궤도 위성도 발사해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도 병행 추진한다.
올해는 6G 기술개발의 첫해인 만큼 6G 핵심분야별 기술요구 사항을 정립하고 요소 기술을 설계하는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틀을 닦고 핵심 장비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6G 선제 연구 중인 미국(NSF), 중국(CAICT), 핀란드(오울루대) 등과 핵심기술에 대한 공동연구 및 6G 주파수의 국제협력을 추진한다. 6G 리더십 확보를 위해 오는 11월 ‘6G Global’ 국제행사도 개최한다.
올해 KAIST, 성균관대, 고려대 등 3개 대학 내 6G 연구센터를 지정ㆍ운영하면서 석ㆍ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한다. 국내 중소ㆍ중견기업과 국내 대학ㆍ연구소가 공동으로 R&D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해 실무인력의 6G 역량 강화도 촉진한다.
이밖에 특허청과 협력해 선정한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6G 핵심기술에 대해 R&D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맵을 패키지 지원하고 우리나라가 국제표준 선도에서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게 ITU 6G 비전그룹 작업 의장 및 3GPP RAN1(물리계층) 의장에 진출한 성과를 공유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협력 기반이 잘 마련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해 6G 준비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협업을 추진하고, 향후 관계부처, 대ㆍ중소기업과도 긴밀히 협력해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강국의 위상을 더욱 높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