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주재하며 "2019년 7월 일본 수출규제 조치를 계기로 소부장 경쟁력강화 정책을 본격 추진한 지 거의 2년이 돼 간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일본 수출규제 관련 100대 품목, 글로벌 공급망(GVC) 관련 85개 품목 등을 선정해 연구개발(R&D) 2조 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는 등 핵심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책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 결과 지난해까지 23개 품목의 시제품을 개발 완료하고 434건의 특허를 출원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제까지 5차례에 걸쳐 26건의 협력모델을 승인해 수요기업-공급기업간 연계R&D 수행 및 협력생태계를 구축하고 연구소・대학 등도 인력・장비・기술 등을 적극 지원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 전기차용 희토류 영구자석 등 8건의 소재・부품・장비 개발을 위한 기업간 협력사업(모델)을 승인했다. 홍 부총리는 "발굴된 협력모델의 대다수는 최근 반도체 부족을 겪고 있는 자동차산업과 연관됐으며 협동연구, 개발-구매 연계 외에 해외기업의 국내투자와 해외진출기업의 국내유턴이라는 새로운 협력방식도 추가된다"고 소개했다.
정부는 협력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2025년까지 약 1400억 원 민간투자, 약 500여 명 신규고용 창출을 기대했다.
또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맞춤형 지원방안을 통해 신설되는 경기 반도체단지는 전력・용수・폐수처리 등 기반시설 확충에, 전북 탄소단지는 기업간 공동R&D 등으로 수요를 발굴하는데 초점두기로 했다.
충북 이차전지단지는 32종의 테스트장비 등 실증기반 구축에, 단지내 소재・부품기업이 부족한 충남 디스플레이 단지는 기업유치가 용이하도록 ‘첨단투자지구’ 지정을 검토하기로 했다.
단지 조성이 오래된 경남 정밀기계단지는 제조기술 고도화를 위한 AI 기반 초정밀 가공장비 개발 및 디지털 제조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홍 부총리는 소재·부품·장비 으뜸기업 맞춤형 지원방안과 관련해서는 "범부처 100여개 지원사업을 메뉴판식으로 제시해 기업이 원하는 R&D・금융・실증 등을 맞춤형으로 지원하고 규제특례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소재·부품·장비 미래선도품목 R&D 추진방안과 관련해 반도체 등 주력산업 관련 27개와 바이오 등 신산업 관련 38개 품목을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