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명이던 직원도 두 명으로 줄었다. 지난해 3월부터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아 유급 휴직 중인 직원 수를 유지해보려고 노력했지만, 8개월(240일)이던 지원 기한이 끝나면서 더는 버틸 수 없다는 판단이 섰다. 폐업도 어렵다. 회사를 유지하기 위해 받은 대출금을 일시 상환해야 하는데, 지난 일 년을 버티느라 쌓아둔 돈을 다 써버렸기 때문이다.
여행업계가 코로나19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한 이후 매출 감소세에 시달리고 있다. 자가격리, 여행 금지 조치 등으로 국경이 막히면서 여행·관광 자체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중소 여행사들은 일 년 내내 매출 ‘제로(0)’ 상황에 놓이며 생존 가능성을 점치느라 바쁘다.
25일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방한 외국 관광객은 6만1764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5.8% 감소했다. 관광 수입도 5억1000만 달러로 같은 기간 68.5% 줄었다.
그런데도 여행·관광 업체 수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 대표는 “국내 관광업체 숫자는 지난해 2만1671개로 전년(2만2283개) 대비 600개가량만 감소했다”며 “매출은 없고 일엔 심각한 타격을 입었지만, 사업체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도 여행·관광업종을 위한 지원책은 마땅히 없다. 이에 중소 여행업체들은 정부와 국회에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중소 여행사를 대표하는 우리여행협동조합, 중소여행협력단, 한국공정여행업협회 등은 이날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존권 보장을 위한 운영자금 지원 등을 요청했다.
권병관 우리여행협동조합 회장은 “우리 여행업계는 코로나19가 국내 발생한 이후 사실상 ‘영업 정지’ 상황”이라며 “‘매출 제로’란 참담한 상황에서도 실직을 막아보고자 생존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울지 않으면 젖을 주지 않는 게 사실인가보다”며 “지난해 초부터 매출이 0%에 수렴하지만 국민의 안전을 우선해 여행 자제 등 정부 시책을 충실히 따랐지만 정부는 중소 여행사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정부가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여행업종을 ‘일반업종’으로 분류하고 전년 매출이 4억 원 이하인 업체에만 100만 원을 지급한 점도 지적했다.
중소 여행사들은 생존대책 마련을 위해 더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중소 여행업 단체들은 △중소여행사 생존대책 마련 △직원 고용유지 지원 및 회사유지 지원, 대표자 생계 지원책 등 마련 △관광개발기금 무담보 신용대출 확대 및 조건 완화 △코로나19 종식 이후 여행 재개 시까지 여행업 특별지원업종 연장 및 제한업종 지정 시행 △매출 제로 여행사의 4대 보험료 납부 유예·감면 등을 촉구했다.
또한 △우수 방역국 간 트래블버블 추진 △자가격리 기간 축소 등의 포괄적 대책도 요구했다.
조합은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 여행·관광 관련 지원책이 미비한 점도 짚었다. 조합 측은 “일본은 매출 50% 감소 여행 법인에 최대 200만 엔(2000만 원가량)을, 개인과 프리랜서에 100만 엔(1000만 원가량)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고용보험과 임대료까지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만은 관광객 급감으로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한 여행·숙박·레저 등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직무 교육을 해 참여자엔 약 76만 원 수준의 직무 교육금을 지급하고 코로나19 위기를 관광산업 업그레이드 기회로 삼았다고 했다. 이 외에도 미국, 호주,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가 여행·관광산업을 위한 지원책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