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심각한 매출 감소를 겪고 있는 중소 여행사 대표들이 나섰다. 일 년 내내 매출이 0(제로) 수준인데도 여행·관광업종을 위한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아 관련 업계가 고사할 위기에 처했다며 정부와 국회에 “생존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중소 여행사를 대표하는 우리여행협동조합은 25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생존권 보장을 위한 운영자금 지원 등을 요청했다. 또한 중소여행협력단, 한국공정여행업협회 등도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이날 권병관 우리여행협동조합 회장은 “우리 여행업계는 코로나19가 국내 발생한 이후 사실상 ‘영업 정지’ 상황”이라며 “매출 ‘제로(0)’란 참담한 상황에서도 실직을 막아보고자 생존싸움을 벌이고 있다”고 호소했다.
지난해 여행업계는 코로나19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본격화한 이후 매출 감소세에 시달려왔다. 자가격리, 여행 금지 조치 등으로 국경이 막히면서 여행·관광 자체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여행업계는 지난해 입국자가 419만4033명으로 2019년(2871만4247명) 대비 85.39%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출국자 또한 같은 기간 1504만6012명(85.96%) 감소한 245만6744명으로 대거 줄었다.
매출에 큰 타격을 입었지만 관련 업체는 크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 이장한 우리여행협동조합 이사는 “그럼에도 국내 관광업체 숫자는 지난해 2만1671개로 전년(2만2283개) 대비 600개가량만 감소했다”며 “매출은 없고 일엔 심각한 타격을 입었지만 사업체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중소 여행업체 종사자들은 “못살겠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 이사는 “울지 않으면 젖을 주지 않는게 사실인가보다”며 “지난해 초부터 매출이 0%에 수렴함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전을 우선해 여행 자제 등 정부 시책을 충실히 따랐지만 정부는 중소 여행사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여행업종이 일 년 가까이 매출 감소를 겪고 있는 상황이지만 이들을 위한 마땅한 지원책이 마련되지 않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재난지원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여행업종을 ‘일반업종’으로 분류해 전년 매출이 4억 원 이하인 업체에만 100만 원을 지급했다.
이 이사는 해외 사례를 소개하며 국내 지원책이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은 매출 50% 감소 여행 법인에 최대 200만 엔(2000만 원가량)을, 개인 및 프리랜서에 100만 엔(1000만 원가량)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고용보험과 임대료까지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만은 관광객 급감으로 일자리를 잃을 위기에 처한 여행·숙박·레저 등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직무 교육을 실시해 참여자엔 약 76만 원 수준의 직무 교육금을 지급하고 코로나19 위기를 관광산업 업그레이드 기회로 삼았다고 했다. 이 외에도 미국, 호주,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가 여행·관광산업을 위한 지원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 여행사들은 생존대책 마련을 위해 보다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중소 여행업 단체들은 △중소여행사 생존대책 마련 △직원 고용유지 지원 및 회사유지 지원, 대표자 생계 지원책 등 마련 △관광개발기금 무담보 신용대출 확대 및 조건 완화 △코로나19 종식 이후 여행 재개 시까지 여행업 특별지원업종 연장 및 제한업종 지정 실시 △매출 제로 여행사의 4대보험료 납부 유예·감면 등을 촉구했다.
또한 △우수 방역국 간 트래블버블 추진 △자가격리 기간 축소 등의 포괄적 대책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