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매각 본입찰이 현대중공업그룹과 유진그룹의 2파전으로 압축됐다. 시장에서는 현대중공업이 두산인프라코어를 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인프라코어 매각주관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증권이 이날 진행한 본입찰에 현대중공업지주-KDB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과 유진그룹이 인수제안서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적격 예비인수후보(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던 GS건설과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PE) 등은 본입찰에 불참했다.
매각대상은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두산인프라코어 지분 36.07%로 시장에서는 매각 대금이 최대 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지주 컨소시엄은 인수 후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규모의 경제 실현과 공동 딜러망 구축으로, 세계 시장에서 글로벌 탑 메이커들과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면서 “특히 전기 굴삭기, 무인ㆍ자동화 등 미래기술 관련 플랫폼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지금보다 앞선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이 두산인프라코어를 품에 안게 되면 국내 건설기계 시장은 현대건설기계와 볼보건설기계의 ‘빅2’ 체제로 재편된다.
유진기업 관계자는 “사업다각화와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해 입찰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타 인수 후보들은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 소송을 비롯한 불확실성을 고려해 불참을 결정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미래에셋자산운용, 하나금융투자, IMM프라이빗에쿼티(PE) 등 재무적 투자자(FI)와 DICC 주식매매대금 청구 소송을 진행 중이다. 1심에서는 두산인프라코어가, 2심에서는 FI가 승소했으며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오늘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며 “실사 자료가 충분하지 않았고, DICC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MBK파트너스와 글랜우드PE 등 PEF 관계자도 DICC 소송 등 불확실성이 많았으며 실사 과정에서 정보 공유가 부족한 부분도 있었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날 본입찰에 불참한 인수 후보들은 “추후 변화가 있거나 불확실성이 해결되면 그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며 관심을 완전히 거두지 않았다.
이번 매각이 원활히 마무리되면 두산그룹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지원을 받으면서 약속한 자구안을 계획대로 이행하게 된다. 4월 두산은 채권단 지원을 받으며 3조 원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자구안을 내놓은 바 있다.
두산중공업은 8월 클럽모우CC를 1850억 원에 하나금융ㆍ모아미래도 컨소시엄에 매각해 약 1200억 원의 채권단 차입금을 상환했다. 또한, 벤처캐피털 자회사인 네오플럭스 지분 96.77%를 신한금융지주에 730억 원에 매각했다.
9월에는 두산중공업이 1조3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두산솔루스 지분 52.93%를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에 6986억 원에 매각했다. 아울러 두산의 모트롤BG를 소시어스-웰투시 컨소시엄에 4530억 원에 매각했으며 두산타워빌딩을 마스턴투자운용애 8000억 원에 매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