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중국 경제의 회복세가 한국의 대중 수출에 긍정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미중 갈등에서 불거진 중국 IT기업의 규제 강화가 반도체 수출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30일 한국은행은 '중국 경제의 조기 회복배경 및 지속가능성 점검’ 자료를 통해 이 같은 전망을 내놨다.
중국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미중 갈등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도 2분기 성장률 3.2%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플러스 전환했다. 앞서 1분기 성장률은 -6.8%였다. 최근 미국이 -31.7%의 성장률을 발표한 것과도 대조적이다.
이 같은 흐름의 원인에 대해 한은은 △방역조치 성공에 따른 제조업의 조기 정상화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 △소비재 수출 확대 등을 꼽았다.
특히 소비재 수출의 경우 마스크를 포함한 코로나19 의료용품 수출이 중국 2분기 수출 증가에 7.0%포인트 기여했다고 한은은 전했다.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미국과 유럽 등이 생산보다 소비에 집중한 재정정책을 시행하면서 소비재 수요가 빠르게 회복됐고, 중국 수출 흐름에도 도움을 줬다는 평가다.
한은은 이 같은 경제 회복이 향후 취약계층 및 중산층의 소비여건 개선과 인프라ㆍ주택건설 투자 증가 등 내수경제로 이어질 경우 한국의 대중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대중 수출 중 31.3%를 차지하는 최종재와 43.8%의 중간재가 내수소비로 흘러 들어가는 등 중국 내수 귀착률이 75.1%에 달한다.
다만 미중 갈등에 따라 반도체 등 전자기기의 수출 제약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짚었다. 미국이 중국 IT기업의 규제를 강화하자, 중국 정부가 반도체 개발 업체 등에 세금 감면을 확대하는 등의 기술자립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송효진 한은 중국경제팀 과장은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비중이 내수 쪽에 집중돼 있어 중국 내수가 살아난다면 긍정적 영향이 있는 건 분명하다”면서도 “중국 IT기업에 대한 규제강화로 인한 부정적 부분 역시 무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과 관련해선 중국 경제흐름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송 과장은 “중국이 정책적으로 홍콩을 대체할 만한 도시를 육성해온지 꽤 됐고, 중국 GDP 내 홍콩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렇게 크지 않다”며 “중국도 그런 점을 염두에 두고 미국에 목소리를 내는 면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