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2차 대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다소 누그러진 코로나19 발(發) 노동시장 충격이 다시 심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유행 도래로 경제활동을 제약하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보다 강화될 경우 구직난 가중은 물론 실업대란 현실화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9일 통계청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10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27만7000명 줄면서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다만 감소폭은 다소 완화됐다. 취업자 수는 올해 3월 코로나19 여파로 10년 2개월 만에 감소세(-19만5000명) 전환됐으며 4월에는 감소폭(-47만6000명)이 확대됐다. 이후 5월(-39만2000명)과 6월(-35만2000명) 감소폭이 줄었으며 지난달에는 -20만 명대로 진입했다.
국내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수백~수천명에 달했던 3월과 4월 이후 코로나19 안정세가 지속되면서 취업자 감소폭 또한 누그러진 것이다. 코로나19 안정세로 정부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면서 경제활동이 어느 정도 개선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그 여파로 6월 사업체의 채용 인원이 2월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2만3000명)로 돌아서기도 했다.
이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노동시장이 최근 대두된 코로나19 대유행 조짐에 다시 수렁에 빠질 위기에 놓였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수도권 교회발 감염세 확산 여파로 14일부터 6일째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세 자리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서울 등 수도권에 내린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생활방역)를 2단계 사회적 거리두기로 상향한 상태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의 경우 실내 50인·실외 100인 이상 집합 금지, 클럽·노래방·PC방 등 12종의 고위험시설 및 국립시설 운영 중단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더 심해질 경우 고강도 조치가 이뤄지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도 염두하고 있다.
이럴 경우 숙박·음식업 등 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경영난이 가중돼 노동시장 충격은 배가될 수밖에 없다. 이는 실업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다. 현재 휴업에 나선 사업장이 상당하다는 점이 이런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올해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코로나19에 따른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고용유지지원금을 받기 위해 고용부에 고용유지조치(휴업·휴직) 계획을 신청한 사업장 수는 7만7000여 곳에 이른다. 우려스러운 점은 내달부터 지원금 지급 기간(180일) 만료되는 사업장이 잇따른다는 점이다. 해당 사업장들이 실적 개선이 이뤄지고 있으면 다행이지만 코로나19 여파 지속에 오히려 경영난이 가중될 경우 휴직 수당 지급이 어려워 노동자들을 감축할 공산이 높다.
이처럼 코로나19 대유행 시 실업대란 발생 가능성이 농후한 만큼 정부로서는 이를 막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