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온난화에 20년간 20억 홍수 이재민 발생

입력 2020-07-26 13: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간 홍수 피해 1980년대 50건 안팎서 최근 150건으로 급증…원흉은 ‘온난화’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일본 구마모토현 히토요시에서 7일 파손된 교량 부근에 전복된 차량 1대와 차체 일부가 물에 잠긴 버스가 방치돼 있다. 히토요시/로이터연합뉴스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일본 구마모토현 히토요시에서 7일 파손된 교량 부근에 전복된 차량 1대와 차체 일부가 물에 잠긴 버스가 방치돼 있다. 히토요시/로이터연합뉴스
전 세계에서 폭우와 홍수로 인한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1998년부터 20년간 홍수로 인해 발생한 이재민만 해도 무려 20억 명에 이른다. 이러한 자연재해의 배경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가 꼽히고 있는 가운데, 많은 전문가는 앞으로도 기온 상승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앞으로 전 세계 사람들은 대규모 자연재해가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 새로운 일상을 살아가야 한다고 26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진단했다.

닛케이에 따르면 중국의 6월 강수량은 최근 약 60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데 이어, 7월에도 계속 비가 내리고 있다. 양쯔강 유역의 수십 개의 하천은 관측 사상 최고 수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탁류는 거리를 집어삼켰다. 양쯔강 중류에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인 싼샤댐조차 최대 수위가 임박했으며, 일각에서는 수압을 못 견디고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중국만의 일이 아니다. 인도나 파키스탄 등 남아시아에서도 지난해 7~10월 2300명 이상이 폭우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 아프리카와 유럽 역시 거의 전례 없는 호우로 인한 피해를 경험했다.

이러한 홍수 피해는 일회적인 경험이 아니다. 유엔 방제기구의 집계에 따르면 홍수 피해는 1998년~2017년 자연재해 발생 건수에서 가장 많은 3148건을 기록했다. 태풍 등을 포함하면 수해 관련 재해가 전체 70%를 차지한다.

다른 통계에서 역시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홍수 피해는 매년 150건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80년대 50건 안팎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큰 폭의 증가다.

최근 폭우와 홍수 발생 정도는 30~40년과 확연하게 다르며 이런 변화를 실감할 수 있는 나라 중 하나가 바로 일본이라고 닛케이는 강조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일본 내 1시간 강우량이 50mm 이상인 폭우의 평균 연간 발생 횟수는 1976~1985년에서 2010~2019년 사이에 약 1.4배 늘어났다.

▲세계 각지에서 홍수가 일상화하고 있다. 연도별 홍수 발생 건수 추이.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세계 각지에서 홍수가 일상화하고 있다. 연도별 홍수 발생 건수 추이.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원흉은 바로 온난화다. 전 세계 기온은 이미 산업혁명 이전과 비교해 약 1도가량 상승했으며, 지금도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가와무라 류이치 규슈대학 교수는 “온난화로 기온이 높아지면 해수면에서 수분 증발이 활발히 일어나고,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가하면서 호우가 내린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향후 증가할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새롭고도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와 기술의 발전으로 인류의 손에 쥐어진 데이터가 아무리 증가하더라도 분석과 업데이트를 게을리하면 ‘천재(天災)’가 아닌 ‘인재(人災)’를 초래하게 된다는 지적이다.

앞으로의 시대는 제방이나 댐과 같은 대책에서부터 정보 전달이나, 피난 계획, 거주지 선택까지 모든 것이 새로운 전제 아래에서 재검토하는 것이 요구된다. 규슈대학의 시마타니 유키히로 교수는 “기존에는 댐으로 ‘피해 제로’를 목표로 했다”면서 “앞으로는 사람이 사는 장소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등 피해를 어떻게 하면 억제할 수 있을까 하는 발상도 필요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괄하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 또한 필요하다. 아울러 온난화 대책에서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활용과 에너지 절약을 철저히 하면서 ‘그린 부흥’에 의한 새로운 일상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요구된다고 닛케이는 봤다.

온난화가 유발한 기후 변화는 어느 한 국가 차원에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최신 기술과 지식을 전 세계가 공유하고, ‘논외’로 여겨졌던 재해에 개인과 기업, 행정이 하나가 되어 임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목소리를 높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어떤 주담대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을까? ‘금융상품 한눈에’로 손쉽게 확인하자 [경제한줌]
  • 2025 수능 시험장 입실 전 체크리스트 [그래픽 스토리]
  • "최강야구 그 노래가 애니 OST?"…'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를 아시나요? [이슈크래커]
  • 삼성전자, 4년 5개월 만 최저가...‘5만 전자’ 위태
  • 고려아연, 유상증자 자진 철회…"신뢰 회복 위한 최선의 방안"
  • 재건축 추진만 28년째… 은마는 언제 달릴 수 있나
  • 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1심’ 선고 생중계 불허…“관련 법익 종합적 고려”
  • ‘음주 뺑소니’ 김호중 1심 징역 2년 6개월…“죄질 불량·무책임”
  • 오늘의 상승종목

  • 11.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489,000
    • +1.78%
    • 이더리움
    • 4,498,000
    • -2.3%
    • 비트코인 캐시
    • 584,000
    • -3.31%
    • 리플
    • 954
    • +5.18%
    • 솔라나
    • 294,400
    • +0.2%
    • 에이다
    • 761
    • -5.47%
    • 이오스
    • 767
    • -0.39%
    • 트론
    • 250
    • -0.79%
    • 스텔라루멘
    • 177
    • +5.9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600
    • -5.31%
    • 체인링크
    • 19,020
    • -4.18%
    • 샌드박스
    • 400
    • -3.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