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과학원은 대문어로부터 알을 받아 부화시킨 후 국내 최초로 바닥생활 단계(부화 후 99일, 전장 약 23mm)까지 키우는 데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바닥생활 단계까지 갔던 대문어 유생은 아쉽게도 어린 대문어로 자라지 못하고 99일째에 폐사했으나 시행착오를 거쳐 바닥생활 단계까지 키울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한 것은 인공종자 생산을 위한 첫 실마리를 푼 것으로 평가된다.
동해 특산품으로 잘 알려진 대문어는 보통 30∼50㎏, 최대 약 270㎏까지 성장하는 대형문어로 1㎏당 4만~6만 원 사이에 거래된다. 최근 1kg 이하 작은 개체의 남획으로 급격하게 자원이 감소함에 따라 양식기술을 개발해달라는 어업인들의 지속적인 요구가 있었다.
대문어 인공종자 생산기술은 개발의 난이도가 높아 전 세계적으로도 성공 사례가 매우 드물다. 현재까지 일본(1973)과 미국(1986)이 각 1마리씩 생산에 성공했으나 양식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바닥생활 단계에서의 다양한 시도와 관찰만이 보고됐다.
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는 2018년부터 대문어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을 위해 건강한 유생을 얻기 위한 철저한 어미 관리, 사육 시스템 개선, 유생 먹이 다양화 등 체계적인 시도 끝에 이번에 부유유생 단계를 넘어 바닥생활 단계까지 사육하는 데 성공했다.
대문어 어미는 알을 낳은 후 6∼7개월간 먹이도 먹지 않으며 알을 보살피는 모성애가 대단하다. 알이 부화하면 생을 마감하기 때문에 어미 개체를 확보한 이후부터 철저한 영양보충과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산란된 알이 원활하게 부화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 어두운 사육환경 등 자연의 산란장과 최대한 비슷한 사육시스템을 조성해 생태환경 변화로 인한 폐사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예비연구를 통해 대문어가 선호할 만한 20여 가지 이상의 다양한 먹이로 부유유생의 바닥생활 적응을 도왔다.
알에서 부화한 유생은 물속을 떠다니는 부유생활을 하다가 바닥으로 내려가는 생활사를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바닥으로 내려가기 시작하면서 죽기 때문에 이 고비를 넘기는 방법을 찾는 것이 인공종자 생산의 핵심이다.
이번 연구에서 바닥생활 단계까지 갔던 대문어 유생은 아쉽게도 어린 대문어로 자라지 못하고 99일째에 폐사했으나 시행착오를 거쳐 바닥생활 단계까지 키울 수 있는 기술을 축적했다는 평가다.
엄선희 동해수산연구소장은 “대문어 인공종자 생산 연구를 시작한 지 3년 만에 매우 고무적인 성과를 얻은 만큼 이를 발판삼아 대문어 수산자원의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