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 인하를 시사했다. 다만 임시 금융통화위원회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라 인하 시점은 다음달 9일 열리는 정례 회의가 될 전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영향이 국내외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다, 그 영향이 과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등 감염병 확산 사례보다 클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미국 연준(Fed)이 긴급회의까지 열며 50bp(1bp=0.01%포인트) 금리인하를 단행했고, 여타 주요국들도 인하에 동참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2일 한은이 금통위 결정을 거쳐 국회에 제출하고 일반에게 공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 2020년 3월’ 자료에 따르면 향후 통화정책방향과 관련해 ‘이 과정에서 코로나19의 확산 정도와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 주요국의 통화정책 대응, 가계부채 증가세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갈 것임’이라고 밝혔다.
이를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 직후 발표한 통화정책방향과 비교해보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국내외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바뀌었고, ‘주요국의 통화정책 대응’ 문구가 새롭게 삽입된 것이다.
이상형 한은 통화정책국장은 “코멘트할 입장이 아니다. 문구 그대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다만, 임시 금통위 개최와 관련해서는 신중한 모습이다. 박종석 한은 부총재보는 “임시 금통위를 개최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예단해서 여부를 말하기 어렵다. 상황을 봐가면서 결정할 것이라는 원론적 답변으로 대신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올해 국내 성장률(GDP)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우선, 외국인관광객수 감소에 따라 서비스수출에 상당히 큰 부정적 영향이 미칠 것이며, 민간소비도 관광, 여가, 음식·숙박, 의료 등 서비스부문을 중심으로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재화수출 역시 화공품과 석유제품 등 대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생산은 물론 투자에까지 적지 않은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봤다.
이지호 한은 조사총괄팀장은 “2월 경제전망 당시 코로나19가 중국과 일부 국가로 확산되는 걸 전제로 했다.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서 최근 확산세처럼 여타 국가로 확산되는 걸 반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제조업 생산 차질이 최근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