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시장 친환경 바람(上)] 친환경농가 2015년부터 정체…정부, 유통·소비 확대 추진

입력 2019-06-26 18: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친환경 농식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이쿱생협, 초록마을, 한살림 등 친환경농산물을 판매하는 친환경 농식품 판매장은 2010년 4122개소에서 2016년 5446개소로 증가했다. 매출액도 같은 기간 7544억 원에서 1조4723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학교급식의 31.5%가 친환경 농식품이고, 26.5%는 직거래로 유통된다.

그러나 친환경인증 면적과 농가 수는 2012년 12만7000헥타르(ha), 10만7000호로 정점을 찍은 뒤 2015년 면적은 7만~8만ha, 농가 수는 5만~6만 호 수준에서 정체돼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규모로 분산된 생산 기반과 판로 확보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꼽는다. 다단계 유통구조와 낮은 구매 접근성, 높은 소비자 가격 등은 친환경농산물 소비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 가공업체의 국내산 유기원료의 안정적인 확보가 어렵고 가공기술 수준이 낮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현재 가공업체의 친환경농산물 유통 비중은 2.6% 수준에 불과하다.

농식품부는 올해 △지역 단위 유통체계와 연계한 친환경농산물 유통·소비 확대 △기업과의 상생 협력, 직거래 자금 지원 등을 통한 친환경 농식품 판로 확대 △친환경의무자조금(36억 원)을 활용한 소비촉진 및 체계적인 홍보 △친환경 가공산업 활성화를 위한 무농약 원료 가공식품 인증제 도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우선 공공급식·직매장에 공급되는 로컬푸드의 친환경농산물 비중을 확대하기 위해 광역단위 산지조직을 2022년까지 9개소로 늘리고 이를 통한 공공급식 비중을 55%(329억 원 매출)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충북과 전남에 각각 180억 원을 지원해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 지원단지도 신규 조성한다.

농식품부는 향후 광역단위별로 생산-유통-소비가 연계된 친환경농산물 유통체계 구축을 목표로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친환경농산물 그린카드 참여매장 확대(700개소→1300개소)와 친환경농산물 매취자금 및 판매장 개설자금 지원(225억 원), 유기식품 홈쇼핑·온라인채널 입점 지원 등 소비 활성화에도 4억80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친환경 농업 관련 예산은 친환경농업직불 381억 원 등 총 780억 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8만 달러 터치한 비트코인, 연내 '10만 달러'도 넘보나 [Bit코인]
  • 말라가는 국내 증시…개인ㆍ외인 자금 이탈에 속수무책
  • 환자복도 없던 우즈베크에 ‘한국식 병원’ 우뚝…“사람 살리는 병원” [르포]
  • 트럼프 시대 기대감 걷어내니...高환율·관세에 기업들 ‘벌벌’
  • 소문 무성하던 장현식, 4년 52억 원에 LG로…최원태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
  • 오늘의 상승종목

  • 11.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4,646,000
    • +4.22%
    • 이더리움
    • 4,469,000
    • +1.06%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2.96%
    • 리플
    • 818
    • +0.99%
    • 솔라나
    • 298,500
    • +4.99%
    • 에이다
    • 828
    • +1.97%
    • 이오스
    • 784
    • +3.02%
    • 트론
    • 230
    • +0%
    • 스텔라루멘
    • 154
    • +2.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3,550
    • +2.14%
    • 체인링크
    • 19,600
    • -2.54%
    • 샌드박스
    • 408
    • +2.7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