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남북 철도 공동조사, 남북정상회담 논의 등의 이벤트가 주목받으면서 남북협력주가 들썩였다.
이번 주도 경제협력주는 테마를 형성할 전망이다. 기대되는 이벤트는 북미 실무회담 및 정상회담의 개최 여부다. 12월 북미 실무회담이 성사된다면 1월 정상회담 가능성은 커진다. 대북 경제 제재가 완화된다면 시장의 관심은 재차 뜨거워질 전망이다.
특히 남북철도연결 공동조사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의 제재 면제 대상으로 결정된 가운데, 미국·유엔 안보리와 추가 협의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단기적인 이슈는 북미회담에서의 남북 철도 착공 승인 여부다. 북미 정상 간 합의가 이뤄진다면 한국 정부는 미국과 유엔 안보리와 추가적인 협의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
◇증권투자업계의 남북 경협 수혜 전망 ‘철도’
IBK투자증권과 국토연구소 자료(2013년)에 따르면 북한과의 철도 분야 협력 사업비는 총 19.1조 원으로 추산된다. 또한 최근 금융위원회는 철도투자를 83조 원 예상한다고 밝혔다. 기타 기관의 전망치도 다른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기관 마다 전망치가 다르지만 수혜 업종임에 틀림이 없다. 제재 완화 분위기상 현실적인 2019년 경협 사업은 상반기 철도·도로 연결 착수를 전망한다. 남·북·미 정상간 협의와 한미 간 워킹 그룹이 경제 협상 허용 범위가 어느 정도진행되는냐에 따라 구체적인 시기는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기업이 현대로템이다. 철도차량은 통상 사업비의 10% 내외 비중을 차지한다. 금융투자업계에선 보수적으로 약 2조 원 규모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보통 1량당 납품가는 고속철도 30~50억 원, 전동차 10~20억 원 수준이다. 다만 실제 실적 반영은 장기간에 걸쳐 이뤄지고 현대로템의 주가는 시장의 기대치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이상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로템이 철도차량부문에서 모두 다 수주할 수 있을지 여부, 사업 기간이 대부분 10년 전후의 장기간 사업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현재 주가는 대북제재로 인해 철도사업 가시성이 저하되면서 5~6월 주가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시장 기대치보다 규모가 확대되거나 사업 반영 속도가 빨라질 경우 밸류에이션 부담은 덜어줄 것”이라며 “11월 말 기준 시점으로 목표주가는 2만8000원”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철도 수혜주는 다원시스다. 다원시스는 전력 제어기술을 바탕으로 전동차 제작 사업 및 특수전원장치 사업 등을 하고 있다.
아울러 관련 중소기업들의 수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신호체계 등 개선되는 비용이 일반적으로 철도 신설 구축 비용의 약 10~20% 수준 집행된다. 관련 수혜주는 △전자연동장치 등 열차설비기업 ‘에스트래픽’ △열차 전력 관제 전문기업 ‘비츠로시스’ △열차 신호관제시스템 전문기업 ‘대아티아이’ △차륜가공기계, 철도차량 계측 및 검수 장비를 공급하는 철도사업 기업 ‘에코마이스터’ △철도 차량용 기어 동력장치를 국내 최초로 국산화한 업체 ‘서암기계공업’ 등이다. 앞으로 주목할 점은 현대로템 사례처럼 실질 수혜 여부와 수혜 규모 반영 후 기업 가치(밸류에이션)다.
◇남북철도·도로서 찾는 건설사 성장 모멘텀…건설기계도 주목
철도·도로 연결 사업은 앞으로 먹거리를 찾는 건설사의 관심사다. 현대건설·GS건설·대림산업·대우건설·삼성물산 등은 북한 인프라 건설을 수행하고 철도·도로 건설 자금 조달을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업체다. 관련 인프라 건설이 정부 간 협의에 따라 진행되는 만큼 정부 주도의 프로젝트에 건설사들의 참여가 예상된다.
건설 기계 장비 업체도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두산인프라코어, 현대건설기계가 대표 기업이다.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등 전기 발전 인프라 기업도 혜택을 받을 것으로 꼽힌다.
현대적인 철도가 투입되려면 토목공사를 비롯해 도로·전력 등 관련 인프라도 동시에 건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영곤 하나금융투자 자산분석실 투자정보팀 연구원은 “남북 철도 연결은 남북의 인적, 물적 교류를 하나로 잇는 필수 기반 시설로써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의 핵심”이라며 “북한 철도의 단기 현안은 철로의 고속화, 현대화, 시스템 개선 등이며 중장기로는 한반도 종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