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수협 관계자는 “4월 판문점 선언 발표와 1·2차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으로 조성된 화해 분위기 속에 수산계의 숙원이던 대북수산협력사업을 추진할 적기라고 판단한다”며 "남북수산협력단을 신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협 남북수산협력단은 우선 북한수산업 실태 파악에 주력하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교류협력 분야를 발굴할 계획이다. 또 북한 현지 수산업에 사정에 밝은 전문가들을 영입해 대북수산협력을 착실히 준비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수협은 △남한 어선의 북한 해역 입어 △수산물 양식어장 개발 △수산물 가공공장 및 냉동창고 설치 △서해5도의 공동파시(波市) 설치 등을 유력한 수산교류협력사업으로 점치고 있다.
남한어선의 북한 해역입어는 가장 빨리 시도할 수 있는 협력 분야로 꼽힌다. 선결 절차만 해결되면 남한 측이 보유한 어선세력이 북한 해역으로 즉시 이동해 조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무분별한 중국어선들의 싹쓸이 조업으로 인한 어족자원 고갈문제 해소를 위해서도 시급히 추진해야 할 교류사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동해 대표어종인 오징어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어민 소득이 줄고 가격이 급등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수협은 우리 배들이 북한 수역에 입어하면 남북 공동으로 체계적인 어장 보호와 감시도 가능해져 어자원 회복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 어선 중 어획강도가 높지 않은 어선(채낚기 등)을 우선적으로 배치해 적정량만 우선 조업하고 북한의 수산자원 현황을 조사해 차츰 입어가능 업종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입어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우리 어선이 북한 수역으로 이동하면 남한 연근해에 집중된 과도한 어획강도를 완화함으로써 한반도 전체수역에서 자원회복이 크게 촉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양식장 설치와 기술 지원으로 북한 양식업 발전을 지원하는 방안도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를 낼 협력 방안으로 꼽힌다. 수협은 남북공동관리를 전제로 해조류와 패류 양식장을 우선 설치해 기술을 지원하는 것을 시작으로 대상 어종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수협은 북한의 낙후된 수산물 처리저장시설에 대한 물적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북한수역 입어 어획물 등을 보관하고 가공하기 위한 북한 현지 공장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북한 내 수산물처리저장시설의 개보수와 신축 등을 지원하고 이용 권리를 확보하는 방안 등으로 협력하는 방안이 유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동해에 비해 군사적 긴장 강도가 상당히 높은 서해5도에서는 공동파시를 설치해 해상에서 남북 어민들이 어획물을 상호 거래하는 방식으로 협력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파시(波市)는 고기를 잡은 배와 이를 사려는 상인들 사이에 거래가 이뤄지는 바다 위의 시장을 의미한다.
수협은 서해5도의 인근 해상에 대형바지선을 띄워 해상 수산물 거래시장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파시를 재현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수협 관계자는 “남북 수산교류는 북한의 식량난 해결과 우리나라 수산자원 및 어민생계 보호 등 남북 간 윈-윈(win-win)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며 “무엇보다도 리스크나 비용 측면을 고려해도 여타 경제교류에 비해 부담도 적다”면서 적극적인 추진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