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중국을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미국 기업들이 이는 소비자에게 세금 인상과 다름없다며 반드시 철회해야 한다고 아우성을 치고 있다.
CNBC방송에 따르면 나이키와 월마트 등 미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은 최근 백악관에 서한을 보내 중국에 대한 지식재산권 관세 부과를 재고해달라고 요청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 기업의 지식재산권을 침해하고 있다면서 이를 바로잡기 위해 전자기기는 물론이고 각종 소비재에 관세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으나 정작 보호 대상인 기업들은 회의적이다. 매트 프리스트 미국신발도소매협회(FDRA) 회장은 나이키와 언더아머, 케즈 등 미국 신발 브랜드를 대표해 보낸 서한에서 “관세는 미국 소비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매우 아이러니한 일”이라며 “중국의 지식재산권 법을 바꾸는 데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월마트와 타깃, 메이시스 등 미국 소매업 25개 주요 기업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가 미국 가정에 상처를 입힐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들이 대중국 관세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한 이유는 가격 인상 가능성 때문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발과 의류의 97% 이상은 해외 공장에서 만들어져 미국으로 역수입된다. 특히 중국의 비중은 어느 국가보다 크다. FDRA에 따르면 미국은 매년 약 17억 켤레의 신발을 수입하는데 이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발의 70%가 넘는 양이다. 수입 제품은 원산지에 따라 관세가 부과되고 그 비용은 미국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는 최종 가격에 반영된다.
앞서 미국 주요 기업을 대표하는 45개 무역단체도 중국에 대한 관세가 소비재 가격을 인상해 미국 경제와 소비자에게 불이익을 준다고 경고하며 트럼프 대통령에 관세 철회를 촉구했다.
미국 기업 입장에서는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느라 소비자에게 추가 비용 부담을 넘기는 것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유지하는 게 더 중요하다. 프리스트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우리 제품의 가격 민감도를 고려하면 추가적인 비용 인상은 가격 경쟁력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 중국이 보복 관세를 도입할 가능성도 문제다. 미국 내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어서다. 미국 상무부의 2015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대중국 상품 및 서비스 수출은 90만 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품 수출이 60만 개, 서비스 수출이 31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특히 농업에서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농산물 시장에서 중국의 비중은 두 번째로 크다. 2016년 수출액이 150억(약 16조800억 원) 달러에 달했던 항공기, 120억 달러를 기록한 전자기기, 그 밖에 기계설비와 자동차 등이 중국의 보복 관세로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될 산업으로 거론되고 있다.
넬슨 둥 전 미중관계전국위원회(NCUSCR) 이사는 “관세와 보복 조치들이 일단 시작되면 언제 멈출지가 매우 불분명해진다”면서 “그것이 바로 ‘무역 전쟁’에 대한 두려움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