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혼돈을 겪는 베네수엘라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한 발 더 다가갔다고 7일(현지시간) CNN머니가 보도했다.
베네수엘라의 외환보유액은 100억 달러(약 11조2660억 원) 미만으로 떨어져 1995년 이후 최저액을 기록했다. 현금 보유액은 이 중 30억 달러에 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네수엘라는 올해 안에 50억 달러의 채무를 갚아야 하는데 전문가들은 이 채무액을 간신히 갚을 수는 있겠으나 만약 미국이 추가 경제 제재를 한다면 상황은 심각해진다고 분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베네수엘라의 인플레이션율이 올해만 720%에 달했고, 내년에는 2000%로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홀딩스의 시오반 모르덴 채권 전문가는 “베네수엘라 모델은 파산했다”며 “채무불이행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석유 산업 제재는 시간문제”라며 “디폴트는 앞당겨졌다”고 진단했다.
지난달 30일 베네수엘라 정권은 제헌의회를 강행했고, 미국은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을 향한 제재를 발표했다. 미국 재무부는 마두로 대통령의 미국 금융 기관 자산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석유 산업에 대해 제재는 하지 않았다. 그런데 베네수엘라 제헌의회는 지난 5일 출범 첫 행보로 루시아 오르테가 검찰 총장을 해임하며 상황을 악화시켜 추가 제재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검찰청장의 축출은 제헌의회가 민주주의의 회복을 요구하는 국제사회의 요구를 가볍게 무시한 것이라고 CNN머니는 진단했다.
제헌의회가 검찰총장을 해임한 뒤 반정부 세력의 반발은 심해졌고 베네수엘라 발렌시아 지역은 지난 6일 내전을 방불케 할 만큼 반정부 세력과 정부군 간 격렬한 충돌을 빚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상황이 악화한다면 더 엄격한 제재가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국제사회는 미국이 베네수엘라의 주요 산업인 석유 산업에 제재를 가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다만 석유 제재는 양날의 검과 같다. 베네수엘라의 식량난과 의료난을 심화해 베네수엘라 국민에게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베네수엘라 원유를 수입하는 미국에서 유가가 오를 수 있어 석유 제재는 신중하게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