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파산을 겪은 한 직원의 얘기다. 한때 세계 7위, 국내 1위였던 40년 역사의 국적 해운선사 한진해운이 지난 17일 사망선고를 받았다. 지난해 9월 1일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지 5개월여 만이다.
1977년 설립돼 한국 해운산업의 성장과 궤를 같이한 한진해운 파산은 여러 가지 후폭풍을 남겼다. 무엇보다 2015년 말 공정자산 규모 7조 원에 달하던 회사가 쓰러지면서 대량 실직 우려가 현실화했다. 정부에 따르면 한진해운 직원 1469명(육상 711명·해양 758명) 가운데 다른 선사에 채용된 인원은 782명(53.3%)에 불과하다.
정부는 일자리를 잃은 한진해운 직원에 대해 고용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고용지원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취업 지원에 나선다고 하지만, 이들은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눈치다. 또 다른 한진해운 전 직원은 “회사에서 퇴직금과 2개월 월급분의 퇴직위로금만 받고 나왔다. 어떤 직원은 귀농을 계획하고 있다고도 한다”면서 “이제 와서 정부가 고용지원 설명회를 한다고 하지만, 해운업이 침체된 마당에 어떤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한국 해운산업 경쟁력도 반토막 났다. 한국 해운 선복량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전인 지난해 8월 말 106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에서 작년 말 51만TEU로 줄었다. 같은 기간 주력 시장인 아시아-미주노선의 시장점유율도 12%에서 4.7%로 쪼그라들었다.
정부가 6조5000억 원 규모의 해운업 지원 정책을 밝혔지만, 업계는 실효성에 의구심을 드러낸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은 사실상 조선업과 현대상선 키우기일 뿐, 해운업 자체를 살리겠다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해운업 구조조정 실기로 경쟁력 약화라는 아픔을 경험한 만큼, 정책의 고른 수혜로 업계 전체의 경쟁력이 강화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