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열리는 한국은행의 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으로 전망된다. 꽁꽁 얼어붙은 국내 경제에는 인하가 필요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을 고려하면 인상에 대한 요구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국내외 불확실성도 금리 변화를 제약할 것으로 관측된다.
8일 이투데이가 증권사 채권 관련 애널리스트 1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3명의 전문가 모두는 2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25%로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작용했다. 미국 신정부와 연방준비위원회(Fed)의 정책이 안갯속인 가운데 선제적으로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 어렵다는 점이 동결 전망의 가장 큰 근거로 꼽혔다. 대내적으로는 탄핵 이슈까지 가세하며 불거진 정치ㆍ경제 불확실성이 금리 운신의 폭을 좁혔다.
이런 가운데 금융시장과 실물경제는 상반된 해법을 요구하고 있다. 실물 경기만 보자면 금리 인하가 절실하다. 하지만 금리를 내릴 경우 수출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환율 조작국 지정 명분이 강해지게 된다.
게다가 1300조 원이 훌쩍 넘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계부채도 발목을 잡았다. 최근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은이 이에 역행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와 반대로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최근 옐런 미 연준(Fed) 의장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뜻을 내비친 만큼 금리 역전에 따른 자금 이탈 가능성도 높아지는 까닭이다.
여기에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변수로 등장했다. 우리 경제는 최근 5분기 연속 0%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저성장이 굳어진 모양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인식되는 생산자물가는 지난달 102.71로 집계돼 25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다. 저금리의 장기화가 경기개선보다는 고물가와 가계부채 증가로 되돌아온 셈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대외적으로 트럼프 정부의 의회 예산안 제출 등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대내적으로는 탄핵 정국, 가계부채 증가 문제로 금리 변경에는 부담스러운 시점”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