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에서 정치력을 겸비한 경제통들도 화려하게 귀환했다. 앞으로 당의 주요 경제정책을 이끌 경제전문가들의 면면을 살펴본다.
새누리당 이혜훈 당선인은 당내 대표적 경제전문가로 손꼽힌다. 그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UCLA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과 여의도연구소 부소장 등을 지냈다.
이 당선인은 이투데이와 통화에서 “재벌·권력자·고소득 자영업자들의 상습적 탈세를 근절하는 각종 법안을 추진하려고 한다. 지금 여러가지 경제 법안들이 있지만 안 지켜도 처벌받지 않는 경우가 많고 처벌받아도 정치적 사면을 받아서 풀려난다. 정치적 사면을 금지해 ‘경제법치’를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민주화 전도사’로 잘 알려져 있는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당선자는 서강대학교에서 경제학과 교수를 지내다가 유신정권 정책자문 역할로 경제개발계획 수립에 참여한 바 있다. 노태우 정부 때는 보건사회부 장관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역임하기도 했다. 1978년 헌법 개정 당시에는 ‘경제민주화 조항’(119조2항) 신설을 주도한 대표적 재벌개혁론자다.
김 당선인은 총선 승리 후 연 기자간담회에서 “경제민주화와 포용적 성장의 길로 대한민국 경제 틀을 바꾸겠다”며 경제민주화 추진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그는 “포용적 성장이라는 말은 경제 성장에 모든 계층이 조금씩 참여해 그 성과를 제대로 나눈다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포용적 성장의 목표는 ‘양극화 해소’다.
같은 당 김진표 당선인은 재정경제부 세제실장, 차관 등을 거치는 등 경제 관료로 탄탄대로를 달렸다. 참여정부 시절에는 경제부총리, 교육부총리를 지냈다. 김 당선인은 통화에서“지금까지는 주로 10대 재벌 중심의 재벌 지원에 너무 많은 돈을 썼다. 그걸 줄이고 대신 청년실업자 중산층 서민들에게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공급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실질적으로 노동개혁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노사정 대타협밖에 없다. 가장 많은 기득권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양보가 필요하다”며 “재벌들이 스스로 나라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우리가 세금을 좀 더 낼 수 있다’고 해줄 수 있다면 그것이 기폭제가 돼 노사정 대타협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 장병완 의원은 참여정부의 마지막 기획예산처 장관을 지냈다. 장 의원은 18대 기획재정위원회에서 활동할 당시 ‘여당 내 야당’ 소리를 들었을 정도로 날카롭게 정부를 추궁하면서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장 의원은 통화에서 “지금은 법안보다 국가의 전체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 잘못된 정치 행태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며 “나라를 이끌어 간다는 사람들이 국민들을 무시하고 상생과 협의에 의해 정치를 하려고 하지 않고, 분열시키려고 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