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편리하게 빈 병을 반납하고 보증금을 받을 수 있는 빈 용기 무인회수기가 국내에서는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무인회수기는 자동으로 보증금 대상 빈병을 인식하고, 반환한 빈병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도록 금액이 찍힌 영수증을 출력하는 기계다.
독일의 경우 무인회수기가 동네마다 있어 24시간 편리하게 보증금을 받을 수 있도록 돼 있지만 우리 현실에서는 불편한 점이 한두 개가 아니다. 정부는 소비자가 빈병을 소매점에 반환할 때마다 빈병 보증금을 환불받도록 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9월부터 시범 도입한 무인회수기의 운영 상황을 점검한 결과, 무인회수기를 설치하기 전에 비해 설치 후 빈병 회수량이 44%나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무인회수기가 설치된 매장의 일평균 빈병 회수량이 설치 전 576병에서 설치 후인 올해 1월에는 일평균 830병으로 44.3%가 증가했다.
환경부와 유통지원센터는 지난해 9월 22일 홈플러스 영등포점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수도권 대형마트 총 13곳의 매장에 24대 무인회수기를 시범 운영 중이다,
무인 회수기가 보편화 돼 있는 독일의 경우 편익을 보는 대형마트 등 유통사와 제조사가 자발적으로 4만여대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우리는 환경부가 미회수 보증금을 활용해 기기를 설치해 주면 대형마트가 운영만 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유통사와 제조사가 무인 회수기 설치 비용이 부담스러워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탓이다. 무인 회수기 한 대를 설치하는 데 약 2500만원의 비용이 들어간다.
하지만 환경부는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무인회수기를 설치함으로써 일일이 직원이 바꿔 줄 필요가 없어 인건비가 절약되고, 빈병을 반납하러 온 고객이 물건을 구매하게 되는 등 매출과 연관되기 때문에 편익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내년부터 관련 업계가 자율적으로 무인회수기를 도입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국내 기술 개발로 무인 회수기 설치 비용을 낮추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또한, 3월부터 내년 1월 1일 빈병 보증금이 인상되기 전까지 무인회수기를 100대를 전국으로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설치장소도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주민자치센터, 아파트 상가 등으로 다양화할 예정이다.
한편, 무인회수기 운영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도 좋은 편이다. 환경부가 한국갤럽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실제 무인회수기를 이용한 소비자 10명 중 7명이 ‘편리하다’고 응답했다.
편리한 이유로는 ‘보증금 자동 계산’이 37%로 가장 많았으며, 반환시간과 수량의 제한이 없고 대기시간 단축 등도 편리한 점으로 꼽혔다.
응답자의 81%는 ‘무인회수기가 많아지면 반환이 활성화될 것’이고, 37%는 ‘무인회수기 설치 후 반환을 시작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