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영 송현경제연구소장은 오는 7일 출간하는 ‘한국경제 대안 찾기’(출판사 창비)를 통해 “한국은 기업 경영진 같은 초고소득자보다는 의사·변호사 등의 전문직, 교수·공무원·공기업 직원 같은 광범위한 상위 소득자에게 소득이 집중되는 정도가 더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정 소장은 ‘21세기 자본’의 저자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가 주도하는 전 세계 소득자료 집계 프로젝트인 월드톱인컴데이터베이스(WTID), 김낙년 동국대 교수 등의 자료를 인용해 각국의 상위 소득 10%의 집중도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 통계가 보고된 20개국 중 2010년 기준 1위 남아프리카공화국(53.62%), 2위 우루과이(50.0%)에 이어 한국(48.05%)이 3위라고 설명했다. 그 뒤를 미국이(46.35%) 뒤따랐다. 또 한국은 일본(40.50%)ㆍ영국(38.08%)ㆍ프랑스(32.29%) 등 주요 선진국보다 상위 10% 소득 집중도가 월등히 높다.
정 소장은 “한국의 상위 10% 소득 집중도는 주택임대소득까지 반영한다면 53~54%으로 추정된다”며 “오랫동안 인종갈등을 겪어온 1위인 남아공을 넘어선 세계 최고 수준이다”고 진단했다.
정 소장은 한국이 소득 상위 1%보다 상위 10%의 소득 집중도가 더 심각한 근본 원인은 임대사업자ㆍ전문직ㆍ관료ㆍ공기업 등 여러 특권 이익집단이 시장의 원리보다 불공정한 제도나 정부의 과보호로 국민경제의 성과를 과도하게 가져가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정 소장은 한국경제 개혁 매뉴얼도 상세하게 제시했다. ‘소득이 있으면 세금을 부과한다’는 기본 요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한국의 현실에 맞게 과세하되 소액의 임대소득에는 세 부담을 없애는 등 도입 초기의 완충 장치를 마련하자는 방안을 내놓았다. ‘괜찮은 일자리’를 새로 만들기 위해선 직업 간 과도한 보상 격차 해소, 비정규직과 중소기업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 일자리 창출 산업에 대한 지원 등을 제시했다. 관료사회를 개혁하기 위해선 행정고시 폐지 및 내부 승진 확대, 정무직 공무원 운영 개선 방안 등을 제안했다.
한편 정 소장은 1978년부터 2012년까지 34년간 한국은행에서 금융안정분석국장 등으로 근무하면서 통화ㆍ금융정책을 연구하고 현장경제를 배워온 ‘금융통’이자 ‘현장경제 전문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