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어 CEO는 지난 1일(현지시간) “일란성 쌍둥이를 임신했으며 12월이 출산 예정일”이라며 “3년 전 아들을 낳았을 때처럼 회사 업무와 CEO 역할을 수행하면서 임신때문에 할애해야 하는 시간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당시 메이어 CEO의 이 같은 입장 발표에 업계에서는 그녀가 지난 2012년 아들을 출산한 후 2주 만에 회사에 복귀했던 것 처럼 이번에도 출산 휴가를 충분히 쓰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3년 전 출산휴가를 제대로 가지 않아 나쁜 선례를 남겼다는 이유로 여성 단체의 비난을 받았던 메이어 CEO를 향해 또다시 같은 이유로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는 셈이다.
가뜩이나 메이어 CEO는 아들을 출산한 그 다음해에 직원들의 재택근무제를 전면 폐지하면서 일하는 부모의 삶을 힘들게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메이어 CEO는 비판여론이 거세지자 여직원들의 출산휴가를 8주에서 16주로 늘리고, 남직원들을 위한 유급 출산휴가제 8주도 도입했다.
그러나 회사에 출산 휴가제도가 마련됐음에도 CEO가 조기 복귀를 해버리면 나머지 직원들은 눈치를 볼 수 밖에 없고, 결국 복지정책은 무용지물로 전락하는 악순환이 초래되는 것이다.
조안 윌리엄스 캘리포니아 헤이스팅스 대학 ‘일과 여가’ 관련법센터 소장은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이같이 모순된 출산휴가 정책은 전형적”이라며 “직원들에게 만약 진짜 헌신적이라면 항상 직장에 붙어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준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