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광주U대회' 불참 통보...민간 교류도 막히나

입력 2015-06-22 18: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한이 다음 달 초 개최되는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광주U대회)에 불참한다고 통보함에 따라 민간 남북교류마저 위축될 공산이 커졌다.

22일 광주U대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9일 조직위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다음 달 3일 개막하는 광주U대회에 참가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북한은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 개소'와 '남측의 군사대결 계속' 등을 광주U대회 불참 이유로 꼽은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은 U대회 주최기관인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에도 이메일로 불참 의사를 통보했고, FISU 측도 북측의 이런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광주U대회 불참 사유로 제시한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는 오는 23일 서울 종로구 글로벌센터에서 개소한다. 이번에 설치되는 유엔 인권기구 서울사무소는 북한의 인권 침해 문제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응을 위한 기구다.

이와 관련,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인권은 인류보편적 가치 차원의 문제로 이번 유엔 인권사무소와 같은 유엔 국제기구를 우리나라에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며 "북한당국은 이 같은 유엔의 북한인권 사무소 설치에 대해서 비난할 것이 아니라 북한주민의 인권상황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 유엔 및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북한이 광주U대회 불참 사유로 '남측의 군사대결 계속'을 꼽은 것은 오는 8월 중순에 시작되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광주U대회 참여 의사를 밝히고 지난 4월에는 '대표단장(HoD·Head of Delegation) 사전회의'까지 참석한 상황에서 갑자기 불참 의사를 통보함에 따라 다른 민간 남북 교류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당초 북한은 지난 3월 육상, 다이빙, 기계체조, 리듬체조, 탁구, 유도 등 6개 개인종목과 여자축구와 핸드볼 등 2개 단체 종목에 나설 선수 75명과 임원 33명 등 총 108명의 선수단을 광주U대회에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세계 야구 최강국 가리는 '프리미어12'…한국, 9년 만의 우승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뉴롯데’ 시즌2 키 잡는 신유열...혁신 속도 [3세 수혈, 달라진 뉴롯데]
  • 인천 미추홀구 지하주차장서 화재 발생…안전재난문자 발송
  • 오늘 최강야구 시즌 마지막 직관전, 대학 올스타 티켓팅…예매 방법은?
  • 긁어 부스럼 만든 발언?…‘티아라 왕따설’ 다시 뜨거워진 이유 [해시태그]
  • 뉴욕 한복판에 긴 신라면 대기줄...“서울 가서 또 먹을래요”[가보니]
  • 잠자던 내 카드 포인트, ‘어카운트인포’로 쉽게 조회하고 현금화까지 [경제한줌]
  • 단독 "한 번 뗄 때마다 수 백만원 수령 가능" 가짜 용종 보험사기 기승
  • 오늘의 상승종목

  • 11.12 09:3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993,000
    • +9.82%
    • 이더리움
    • 4,613,000
    • +3.85%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4.01%
    • 리플
    • 848
    • +3.16%
    • 솔라나
    • 306,900
    • +4.85%
    • 에이다
    • 822
    • -3.29%
    • 이오스
    • 799
    • -1.6%
    • 트론
    • 234
    • +2.18%
    • 스텔라루멘
    • 158
    • +3.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8,500
    • +3.87%
    • 체인링크
    • 20,460
    • +2.35%
    • 샌드박스
    • 420
    • +2.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