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소니 영화사 해킹’과 관련해 후속대응 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마리 하프 미국 국무부 부대변인은 22일(현지시간) 정례브리핑에서 “(후속 대응 조치는) 광범위한 옵션을 검토 중이며 이를 이행하는 과정에서 일부는 눈에 보이고 일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사이버 보복’ 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대응조치도 포함할 것임을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일각에서는 해킹사건 주체로 지목된 북한이 미국의 이번 ‘보복 조치’를 빌미로, 재공격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를 내비치고 있다.
하프 부대변인은 또 북한이 이번 해킹사건과 관련해 공동조사를 제안한 데 대해 “북한 정부는 파괴적이고 도발적인 행동에 대해 책임을 부정해온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며 “북한이 우리를 돕기 원한다면 책임을 인정하고 자신들이 야기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 정부가 파괴적인 이번 공격에 책임이 있다는 연방수사국(FBI)의 수사결과를 지지하고 신뢰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북한이 미국 본토 공격을 위협하고 있는데 대해선 하프 부대변인은 “우리는 미국 시민과 기업에 대한 어떤 위협도 심각하게 여긴다”며 “현재로서는 특별히 신뢰할만한 위협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정부는 관련 상황을 주시하고 있으며 위험에 처할 수 있는 개인과 법인들에 대해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주고 있다”며 “우리는 북한이 자제력을 발휘하고 추가적인 위협행동을 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전날 북한은 국방위원회 정책국 명의의 성명에서 미국이 근거없이 북한을 해킹 배후로 지목했다며 “오바마가 선포한 ‘비례성 대응’을 초월해 백악관과 펜타곤, 테러의 본거지인 미국 본토 전체를 겨냥한 초강경 대응전을 벌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이번 해킹공격에 가담했는지에 대해 “중국을 포함한 다른 정부가 이번 공격에 관여했는지에 대해 아무런 증거가 없다”며 “미국과 중국은 분명한 차이가 있음에도 악의적인 사이버 행위가 국제평화와 안보에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으며 미국은 중국에 사이버 안보와 관련한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중국의 컴퓨터 서버가 이번 공격에 이용됐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말을 아꼈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미국 언론들은 소니 해킹 사건의 주체로 지목된 북한의 인터넷이 이날 완전히 다운된 것 같다고 인터넷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