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1919년 제정된 임시정부 헌장 1조이며, 1948년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 제1조 1항이다. 민주는 주권 조항이고 공화는 권력 조항이라는 것을 1조 2항에서 밝혔다. 현재 대한민국은 국민이 직접 대표를 선출하는 민주는 분명하나, 권력이 국민에게서 나오는 공화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게 된다. 공화는 통치가 아니라 협치의 개념이기
“박근혜 대표를 잘 보필해 당이 화합해 국민이 바라는 변화를 꼭 이루도록 노력하겠다”
- 2005년 1월,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비서실장에 임명된 후
“경선 룰은 이미 합의된 부분이며 지금 와서 깨뜨리는 것은 또 다른 분열의 씨앗을 낳게 하는 것으로, 자꾸 경선 룰을 거론하면 원칙대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
-2007년 5월, 대선 경선을 앞두고 이
새누리당 유승민 의원은 국회법 파동을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과의 ‘완전한 결별’을 선언했다. 2005년 박 대통령의 한나라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으로 본격적인 인연을 맺고 2007년 대선 경선까지 몸을 던져 뛰었던 그다.
유 의원이 박 대통령을 멀리하게 된 건 정책적인 부분에서 소신이 달랐기 때문이지만, 박 대통령의 그늘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자기 정치’를
새누리당 원내사령탑에서 8일 물러난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마지막 일성(一聲)'이 정치권에 묘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유 전 원내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자신의 사퇴 권고가 추인됐다는 소식을 김무성 대표로부터 직접 전해들은 뒤 곧바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정론관으로 이동, 미리 준비해 둔 사퇴회견문을 차분한 어조로 읽었다.
그는 평정심을 잃지 않으려고 애쓰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그간의 거취 논란을 뒤로하고 8일 사퇴했다. 그의 사퇴는 청와대와 국정운영의 철학을 공유하기 어려웠던 뚜렷한 소신이 가장 큰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유 원내대표는 지난 2월 원내대표 경선에 당선된 이후 줄곧 청와대와 엇박자를 내 박 대통령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특히 지난 4월 교섭단체 연설에서는 작심한 듯 정부 정책에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당원 동지 여러분!
저는 오늘 새누리당 의원총회의 뜻을 받들어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납니다.
무엇보다 국민 여러분께 사죄의 말씀을 드립니다.
고된 나날을 살아가시는 국민 여러분께 저희 새누리당이 희망을 드리지 못하고, 저의 거취 문제를 둘러싼 혼란으로 큰 실망을 드린 점은 누구보다 저의 책임이 큽니다.
참으로 죄송한 마음입니다.
오늘 아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는 8일 의원총회에서 결정난 사퇴 권고를 받아들이며 “국민 여러분께 저희 새누리당이 희망을 드리지 못하고 저의 거취 문제를 둘러싼 혼란으로 큰 실망 드린 점 누구보다 저의 책임이 크다. 참으로 죄송한 마음이다”고 사과했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오늘 새누리당 의원총회의 뜻을 받들어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난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