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美금융패권에 반기] 브릭스 vs. 미국, 금융패권 경쟁 본격화

입력 2014-07-11 09: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브릭스 개발은행 가시화ㆍ중국, 위안화 절상 美요구 단호히 거절

중국을 중심으로 브릭스(BRICS, 브라질ㆍ러시아ㆍ인도ㆍ중국ㆍ남아프리카공화국)와 미국의 금융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브릭스판 개발은행 설립이 어느새 가시화하고 있다. 중국은 10일(현지시간) 끝난 미국ㆍ중국 전략경제대화에서도 유례없이 제 목소리를 냈다.

제이콥 루 미국 재무장관은 이번 대화에서 “환율 움직임을 시장에 맡기는 것이 중국 경제에 도움이 된다”고 위안화 절상을 간접적으로 압박했다. 그러나 러우지웨이 중국 재정부장은 “중국의 경제회복세는 너무 약하고 해외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는 자본 흐름은 아직 완전히 정상적이지 않다”며 “이런 상황에서 외환시장 개입을 중단할 수 없다”고 단호히 미국의 요구를 거부했다.

미ㆍ중 전략경제대화가 한창 진행 중인 9일 브릭스 회원국인 러시아의 안톤 실루아노프 재무장관이 브릭스 개발은행 설립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도 많은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브릭스가 미국 중심의 국제 금융질서를 견제하겠다는 의도를 실천에 옮기겠다는 것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물론 브릭스 각국 관리들은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으로 대변되는 현 금융체제를 전복하려는 의도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런 움직임이 IMF에서 신흥국 지분 확대 등 개혁 이행을 압박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은 최근 이런 행보에 못마땅하다는 반응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젠 사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중국이 추진하는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에 대해 지난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미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역 인프라 투자와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AIIB는 분명 넘어야 할 문턱이 많다”고 말했다.

지배구조와 자금조달, 지속성 측면에서 ADB와 WB 등 기존 체제와 견줄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브라질에서 다음주 개막하는 제6차 브릭스 정상회의가 중국 등 브릭스 회원국이 미국의 패권에 도전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게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사실 브릭스 개발은행 논의도 수년간 진행됐으나 중국과 인도 등 회원국 내부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진행이 부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유죄...‘정당 쪼개기’로 434억 '먹튀' 가능?
  • 하루 시작부터 끝까지…변우석과 함께 보내는 하루! [솔드아웃]
  • 다 상술인건 알지만…"OO데이 그냥 넘어가긴 아쉬워" [데이터클립]
  • ‘2025 수능 수험표’ 들고 어디 갈까?…수험생 할인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리스크 털어낸 리플…'美 증시ㆍ비트코인' 하락에도 나 홀로 상승
  • 예금자보호한도 23년 만에 1억으로 상향…금융권 파장은?
  • 프리미어12 한국 대표팀, 오늘 일본과 B조예선 3차전…중계 어디서?
  • 韓 환율관찰 대상국 재지정…“국내 채권시장 최악의 시나리오, 환율 상향 고착화”
  • 오늘의 상승종목

  • 11.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743,000
    • -1.86%
    • 이더리움
    • 4,378,000
    • -3.01%
    • 비트코인 캐시
    • 610,500
    • -1.05%
    • 리플
    • 1,233
    • +19.25%
    • 솔라나
    • 302,400
    • -1.21%
    • 에이다
    • 930
    • +15.38%
    • 이오스
    • 831
    • +7.78%
    • 트론
    • 265
    • +2.32%
    • 스텔라루멘
    • 201
    • +12.9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2,450
    • -0.16%
    • 체인링크
    • 19,170
    • +0.68%
    • 샌드박스
    • 402
    • +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