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라건설, 동부제철, 현대상선은 내달 만기 예정인 회사채를 차환할 전망이다. KDB산업은행과 채권은행, 금융투자업계, 신용보증기금으로 구성된 차환발행 심사위원회(차심위)는 전일 이들 기업에 대한 회사채 차환에 동의했다.
지난해 8월 가장 먼저 차환 지원을 받았던 한라건설은 오는 4월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1000억원을 차환 발행한다. 지난 2월에도 차환 지원을 받은 한라건설의 회사채 차환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해 10월 한 차례 지원을 받은 현대상선은 내달 만기 예정 회사채 1400억원을, 이미 두 차례 차환 발행을 한 동부제철은 회사채 600억원을 각각 차환 발행한다.
지난달에는 한진해운이 이달 만기도래 회사채 1800억원에 대한 차환을 신청, 지원이 결정됐다.
이 처럼 제도를 시행한 지 10여개월이 지났지만 단 세 곳 만이 돌아가면서 차환 발행을 하고 있다. 정작 차환 지원이 급한 취약업종 기업의 신청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셈이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달간 발행된 일반기업 회사채는 5조4600억원으로 이 중 A급 이하 회사채는 8830억원(16.2%)에 그친다. 반면 같은 기간 A급 이하 만기도래 회사채 규모는 4조3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특히 국내 주요 건설사 24곳의 올해 회사채 만기도래 물량은 5조2290억원으로 이 가운데 약 40%가 3~4월에 몰려있다. 다음달에는 8개사 1조26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상황이 이런데도 기업들이 회사채 차환에 선뜻 나서지 않고 있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 조선 등 회사채 만기에 몰린 기업이 많지만 회사채 차환에 따른 부작용으로 신청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며 “큰 기업은 대외 이미지 타격 우려에 현금상환에 나서는 곳이 많고,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신청을 한다 해도 지원 조건이 까다로워 사실상 차환 발행이 어려운 탓에 신청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7월 발표한 ‘회사채 차환발행제’는 산은이 만기도래분의 80%를 총액 인수하고 이 중 회사채 안정화펀드가 10%를, 채권은행들이 30%를 재인수하는 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