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수결손액이 8조5000억원으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8조6000억) 이후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도 세수난이 이어질 것이란 비관적 전망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여권에서는 경기회복 가능성과 지난 연말의 부동산 규제 완화·부자증세 등 조치를 들며 낙관하는 분위기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11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올해 세수는 지난해 상황에 따라 달리지는데 작년에도 경기가 좋지 않았다”면서 “올해 역시 목표세수 216조5000억원을 채우기가 녹록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국세청이 FIU법을 활용해 지하경제 양성화하고, 세무조사와 다를 바 없는 사후검증한다고 해도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면서 “정권 초부터 증세 카드를 꺼내기도 어려워 결국 경제활성화를 통해 파이를 키우는 게 제일 좋은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홍 교수와는 달리 세수난의 주원인을 경기침체와 이명박 정부 시절의 ‘부자감세’로 동시 지목하는 이들은 법인세 등 증세를 세수확보책으로 제시했다.
강병구 인하대 경제학과 교수는 “25조원 가까운 적자예산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정부가 최근 공기업 부채문제를 들고 나오면서 자산매각까지 언급하는 이유도 세수 보충을 위한 게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강 교수는 “정부가 ‘증세 없는 복지’, 지하경제 양성화만 얘기할 게 아니라 고소득, 고액자산가, 재벌·대기업처럼 사회 부담 여력이 있는 계층들이 더 부담하면서 복지확충에 따른 필요재원 일부를 중산층에 요구하는 증세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안창남 강남대 세무학과 교수 역시 “경기가 안 좋았다지만 소득세와 부가가치세 실적은 나아지고 법인세만 감소했다”면서 “이익을 많이 내는 대기업의 경우 집중적인 비과세·감면 혜택으로 세금을 덜 내고 있어 법인세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여당은 경제활성화 기조 전환 요구엔 동의하면서도 증세 가능성은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
새누리당 나성린 의원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신흥국 경제불안 등 요인이 있지만 세계경제가 살아나고 있어 우리 경기도 나아질 것”이라면서 “3.9% 경제성장률도 달성가능하다”고 했다.
나 의원은 “지난해 말 부동산 규제 완화하고 소득세 최고구간을 1조5000억원으로 내리는 등 조치를 취한 것도 세수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지난해 부자증세를 굉장히 했다. 거기까지가 대타협이였고 증세는 더 이상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