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재무적 측면의 준비는 40% 수준에 불과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20일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를 진단한 ‘2013 한국 비은퇴 가구의 노후준비 실태’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재무·비재무적 측면을 모두 반영해 종합적 노후준비도를 계량화한 ‘KB노후준비지수’ 는 평균 50.3으로 나타났다. 비재무 준비지수(65.3)에 비해 재무준비지수(40.3)가 낮아 노후생활에 필요한 자금 준비가 상대적으로 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재무준비지수가 40.3이라는 의미는 현재와 같은 노후준비 활동을 은퇴 시점까지 지속할 경우, 가구가 예상하는 월평균 노후생활비(227만원)의 40.3%(91만원)만이 준비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뜻. 이는 지난해 46.3에서 올해 40.3으로 크게 하락해 장기화되는 경기침체가 가계의 일상 소비생활 뿐 아니라 노후준비에도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 비은퇴 가구의 31.1%가 재무준비지수 10 미만에, 19.7%가 재무준비지수 90 이상에 집중돼 경제적 노후준비의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준비지수 10 미만인 가구의 비중은 지난해 21.8%에 비해 9.3%p 증가하며 경제적 준비가 취약한 계층이 더욱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 형태별로는 부부가구의 재무준비지수가 35.1로 독신가구의 58.2에 비해 23.1p 낮게 나타났다. 부부가구 중에서도 유자녀 가구는 무자녀 가구에 비해 재무준비지수가 22.7p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자녀의 양육·교육·결혼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정작 본인의 노후 준비가 취약한 것으로 해석된다.
가구주 직업별로는 공무원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가 56.6으로 평균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반면, 자영업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는 26.1로 공무원 가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직업별 편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거주 주택과 같은 부동산 자산 활용이 노후준비 부족을 보완하는 데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주택연금(역모기지) 등을 활용해서 부동산자산을 노후자금으로 유동화할 경우, 비은퇴 가구의 평균 재무준비지수가 40.3에서 50.5로 10.2p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효과는 은퇴가 임박한 베이비 부머 가구에서 두드러졌다.
KB경영연구소 김희규 연구위원은 “준비 기간이 많지 않은 장년층 가구는 보유 부동산을 노후자금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20~30대 가구는 고수익추구상품 투자 비중을 확대해 노후준비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