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원 은행연합회장이 우리금융 매각의 첫째 조건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최우선임을 밝혔다. 또한 은행권 고용확대 정책과 관련해선 수익하락 탓에 주춤한 양상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박 회장은 4일 아시아개발은행(ADB)연차 총회를 참석한 뒤 기자들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우리금융 매각의 과제는 민영화가 아니라 예금보험공사 보유의 주식 매각을 통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로 헐값에 팔아선 안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 "그런 맥락에서 현재는 우리나라 은행을 사려는 매각 주체가 너무 없다"고 지적했다. 테마섹과 같은 세계적인 해외펀드 조차 비금융주력자라는 이유로 반대했던 사례들이 우리금융 매각의 흥행을 막고 있다는 지적이다. 박 회장은 "매각방식 이전에 살 사람이 다 쫓아내놓고 누굴 인수시키지 이런 고민 스스로 만들어놓는게 답답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은행권의 가산금리 차이에 관련해서는 "이는 신용도가 낮은 사람까지도 돈을 빌려주느냐 아니냐 차이"라면서 "(은행도 영리를 추구해야하는데) 한쪽으로는 신용등급 낮은 사람한테도 빌려주라면서 싼 금리로 빌려주란 소리냐"고 반문했다.
국민행복기금의 현황과 관련해 박 회장은 "요건이 안되는 사람들이 창구에 찾아오는 경우가 있어 상담자들이 잘 안내할 수 있도록 우선 교육에 신경쓰고 있으며 1일부터 본접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부채 내용을 볼 수 있는 전산망 통합 협약에 대해서는 "전산 구축 때문에 행복기금의 시작이 늦춰졌다"고 언급했다.
행복기금과 서비스산업 등 맡은 분야가 많아 힘들지 않냐는 질문에 그는 "대부분 일년에 며칠씩 하는 것이고 이사회 의장직이라 크게 힘들지 않다"면서 "임단협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은행권의 정년연장 논의에 대해선 "일자리 플러스 보단 제로섬 게임(한쪽의 이득과 다른 쪽의 손실을 더하면 제로(0)가 되는 게임)이 될 것"이라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더 신경쓰는 것이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창조경제와 맥락을 같이하는 창조금융에 대해서는 "금융자체에서 대단히 창조적인게 나오기는 어렵고 창조경제를 잘 보조하는 것이 첫번째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창조금융에 앞서 기존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이 더 급선무라는 입장을 피력했다.
4월 기준금리 동결 전 조원동 경제수석과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만난 것을 주선한 것에 대해서는 "3~4주전에 이미 약속된 점심자리로 언론이 금리논의 지리로 오해했다"고 설명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방문에 수행하는 금융지주 회장 중 몇명이 빠졌다는 질문에는 "작년에 어윤대 회장, 이팔성 회장이 갔는데 누가 갈지 추천하라고 해서 작년에 안간 분을 추천한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